권상요목(勸上搖木)은 나무 위로 올라가게 해 놓고는 아래에서 나무를 흔든다는 뜻으로, 남을 위험한 상황에 몰아넣고 도와주지 않거나 오히려 방해하는 이기적이고 무책임한 행동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권상요목(勸上搖木)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권상요목 뜻
- 勸(권할 권): 권하다, 부추기다
- 上(위 상): 위로 오르다
- 搖(흔들 요): 흔들다
- 木(나무 목): 나무
'권상요목(勸上搖木)'은 남에게 위태로운 일을 하라고 권해 놓고, 정작 그를 곤경에 빠뜨리는 비열한 행위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권상요목은 위선적이거나 책임을 회피하며 타인을 위기에 몰아넣는 태도를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
권상요목(勸上搖木)은 중국 명나라 시기 문헌 『경세통편(經世通編)』 등에서 등장하는 고사성어입니다.
권상요목은 한 사람이 나무 위로 올라가 열매를 따게 해 놓고는 밑에서 나무를 흔들어 떨어뜨리는 이야기에서 유래했습니다. 즉, 겉으로는 돕는 듯하지만 실제로는 방해하거나 해를 끼치는 모순된 행동을 경계하는 표현입니다.
예문
권상요목(勸上搖木)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책임은 넘기고 결과는 외면하는 그의 태도는 권상요목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 겉으론 격려하는 척하면서 실상은 권상요목식으로 뒤에서 방해하고 있었다.
- 무리한 일을 시켜놓고 지원도 없이 평가만 하는 건 권상요목에 해당한다.
이처럼 권상요목은 겉으로는 도와주는 듯하나 실제로는 방해하거나 위태롭게 만드는 행위에 대한 비판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권상요목 반대말
- 순망치한(脣亡齒寒): 서로 도와야 유지되는 관계
- 동고동락(同苦同樂): 함께 어려움을 나누고 기쁨도 함께함
순망치한은 서로를 지지하고 보호하지 않으면 함께 위태로워질 수 있다는 의미로, 책임을 회피하고 타인을 곤경에 빠뜨리는 권상요목과 대조됩니다.
동고동락은 상대의 상황에 공감하고 끝까지 함께하는 태도를 뜻해 반대 개념으로 적절합니다.
권상요목 유의어
- 자승자박(自繩自縛): 자신이 만든 줄에 자신이 묶임
자승자박은 무책임, 위선, 모순된 행위로 자신을 위태롭게 만드는 상황을 묘사하며, 권상요목과 함께 현실의 무책임함이나 이중적 태도를 풍자하거나 비판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끝맺음
권상요목(勸上搖木)은 타인을 곤경에 빠뜨리고도 책임지지 않는 이기적이고 위선적인 태도를 강하게 비판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리더, 조직, 관계 안에서 실제로 도울 것인지, 말만 하고 책임을 회피하는 것인지를 돌아보게 만드는 교훈적 표현이기도 합니다. 진정한 협력은 도움이 필요한 순간에 행동으로 책임을 지는 자세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권상요목은 상기시켜 줍니다.
👇 관련 글 모음
군자삼락(君子三樂)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귤화위지(橘化爲枳)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0) | 2025.05.21 |
---|---|
궤상공론(几上空論)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권불십년(權不十年)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0) | 2025.05.21 |
군자삼락(君子三樂)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0) | 2025.05.21 |
국수주의(國粹主義)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