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근주자적(近朱者赤)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근주자적(近朱者赤)은 붉은 것을 가까이하면 붉어진다는 뜻으로, 주변 사람이나 환경에 따라 성격이나 행동이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근주자적


오늘은 근주자적(近朱者赤)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주자적 뜻

  • 近(가까울 근): 가까이하다
  • 朱(붉을 주): 붉은 색, 주홍색
  • 者(사람 자): ~한 사람
  • 赤(붉을 적): 붉다

'근주자적(近朱者赤)'은 붉은 것을 가까이하면 붉게 물든다는 뜻으로, 선한 사람과 가까이하면 선해지고, 악한 사람과 가까이하면 악해진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즉, 근주자적은 환경과 인간관계가 개인에게 큰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유래

근주자적(近朱者赤)은 중국 동진 시대 인물 부견(苻堅)의 신하 부현(傅玄)의 글에서 유래한 것으로 전해지며, 이후 『태자소훈(太子少訓)』 등 유학 고전에서 반복 인용되어 사자성어로 자리 잡았습니다.
함께 등장하는 표현인 근묵자흑(近墨者黑)과 한 쌍으로 쓰이며, 근주자적, 근묵자흑”은 좋은 환경·나쁜 환경의 영향을 모두 설명하는 대표적 표현이 되었습니다.

 

예문

근주자적(近朱者赤)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좋은 친구들과 어울리며 성격이 밝아졌으니, 근주자적이라는 말이 떠오른다.
  • 아이들이 어떤 환경에 있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걸 보면 근주자적의 진리를 실감하게 된다.
  • 직장 분위기가 워낙 성실하다 보니 나도 근주자적으로 변했다.

이처럼 근주자적주변의 긍정적인 영향을 받아 변화하거나 발전하는 상황에 사용됩니다.

 

근주자적근주자적근주자적

 

근주자적 반대말

  • 염량세태(炎凉世態): 권세 있을 땐 가까이하다가 몰락하면 멀리함
  • 양상군자(梁上君子): 겉보기엔 멀쩡하나 속은 도둑 같은 사람 

염량세태변덕스러운 인간관계를 경계하는 표현으로, 선한 영향을 강조하는 근주자적과는 대조되는 인간관계의 부정적 면모를 드러냅니다.
양상군자겉으로는 영향을 받지 않는 척하면서도 내면은 부정적인 사람을 의미해, 근주자적의 순수한 영향력 개념과는 반대되는 성격을 보여줍니다.

 

근주자적 유의어

  • 근묵자흑(近墨者黑): 먹을 가까이하면 검어짐
  • 마중지봉(麻中之蓬): 삼밭에 자란 쑥은 곧게 자람
  • 유유상종(類類相從): 끼리끼리 어울림

이 유의어들은 모두 환경과 인간관계가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설명하며, 근주자적과 함께 인성과 도덕적 성장에 관한 교육적 사자성어로 널리 활용됩니다.

 

끝맺음

근주자적(近朱者赤)은 사람이 누구와 어울리느냐, 어떤 환경에 처해 있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경고하고 조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근주자적은 올바른 길을 가고 싶다면 좋은 사람과의 관계 맺음, 건전한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일깨워주며, 오늘날에도 교육, 인간관계, 조직문화 등에서 여전히 강력한 의미를 지닌 표현입니다.

 

 

👇 관련 글 모음
귤화위지(橘化爲枳) ⭐

규천호지(叫天呼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