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구대천지수(不俱戴天之讐)는 하늘을 함께 이고 살 수 없는 원수라는 뜻으로, 절대 용서할 수 없는 철천지원수, 목숨을 걸고 복수할 만큼 깊은 원한 관계를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불구대천지수(不俱戴天之讐)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불구대천지수 뜻
- 不(아닐 불): 아니다
- 俱(함께 구): 함께
- 戴(일 대): 이고 살다
- 天(하늘 천): 하늘
- 之(의 지): ~의
- 讐(원수 수): 원수, 복수의 대상
'불구대천지수(不俱戴天之讐)'는 같은 하늘 아래서는 함께 살 수 없는 원수라는 뜻으로, 부모나 혈육을 죽인 자에 대한 극단적인 복수심을 표현한 말입니다.
불구대천지수는 흔히 극도의 원한 관계나 죽어도 화해할 수 없는 적대관계를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
불구대천지수(不俱戴天之讐)는 『예기(禮記) · 곡례 편(曲禮篇)』에서 유래합니다.
“부모를 죽인 자는 같은 하늘을 이고 살 수 없다(父之讐 不與共戴天)”는 구절이 원형으로, 불구대천지수는 부모를 해친 원수에 대해서는 반드시 목숨을 걸고 복수해야 한다는 고대 유교의 윤리관에서 비롯된 표현입니다.
예문
불구대천지수(不俱戴天之讐)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부모를 죽인 자와 마주한 그는 차마 용서할 수 없는 불구대천지수의 심정이었다.
- 두 집안은 몇 대째 불구대천지수처럼 지내며 화해할 기미가 없었다.
- 깊은 배신감에 그는 친구를 불구대천지수처럼 여겼다.
위 예문처럼 불구대천지수는 일반적인 다툼을 넘어선, 절대 용서할 수 없는 극단적 원한 관계를 표현할 때 쓰입니다.
불구대천지수 비슷한 사자성어
- 빙탄불상용(氷炭不相容): 얼음과 숯처럼 함께 있을 수 없음
- 견원지간(犬猿之間): 개와 원숭이처럼 사이가 극히 나쁨
- 빙탄지간(氷炭之間): 공존할 수 없는 관계, 원수지간
빙탄불상용과 빙탄지간은 물리적으로 함께할 수 없는 적대적 관계를 뜻하며, 불구대천지수의 감정적 격렬함을 담고 있습니다.
견원지간은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표현이지만, 사이가 극도로 나쁜 상태라는 점에서 유사한 의미로 쓰입니다.
끝맺음
불구대천지수(不俱戴天之讐)는 인간관계에서 가장 극단적인 복수와 원한의 상태를 상징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불구대천지수는 단지 분노나 갈등을 넘어, 영원히 화해할 수 없는 감정의 골과 그로 인한 행동을 묘사합니다. 그러나, 때로는 이러한 원한도 이해와 용서의 노력으로 해소될 수 있음을 함께 성찰해야 할 것입니다.
👇 관련 글 모음
망양보뢰(亡羊補牢)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진여퇴(如嗔如退)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0 |
---|---|
심심상인(心心相印)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0 |
반포보은(反哺報恩)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5.19 |
망양보뢰(亡羊補牢)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5.19 |
누란지세(累卵之勢)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