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부지공(田父之功)은 밭 가는 노인의 공이라는 뜻으로, 두 사람 또는 두 세력이 다투는 사이 제삼자가 이득을 보는 상황을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전부지공(田父之功)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부지공 뜻
- 田(밭 전): 밭, 들
- 父(아비 부): 늙은이, 농부
- 之(갈 지): ~의
- 功(공 공): 공로, 이득
'전부지공(田父之功)'은 다른 이들의 싸움이나 분쟁으로 인해 제삼자가 예상치 못하게 이득을 보는 상황을 가리킵니다. 특히, 전부지공은 직접적인 갈등에 개입하지 않고도 최종적인 수혜자가 되는 경우를 풍자적으로 표현할 때 쓰입니다.
유래
전부지공(田父之功)은 중국 전국시대 '전국책(戰國策) 연책(燕策)'에 실린 고사에서 유래합니다.
조나라와 연나라가 전란 중일 때, 어떤 농부가 이를 보며 "두 나라가 싸우면 나는 이익을 보겠다"라고 말한 데서 비롯된 말입니다.
이 고사는 주체가 싸우는 동안 제삼자가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그 결과를 가져가는 경우를 풍자하는 대표적인 일화로 전해집니다.
예문
전부지공(田父之功)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경쟁사 두 곳이 치열하게 가격 전란을 벌이는 사이, 제3의 기업이 전부지공을 누리며 시장 점유율을 높였다.
- 형제끼리 재산 분쟁을 벌이다가 결국 친척이 전부지공으로 유산을 가져갔다.
- 서로 다투기만 하다가 전부지공을 만들어주는 어리석음은 피해야 한다.
이처럼 전부지공은 당사자 간의 다툼이나 갈등 속에서 제삼자가 뜻밖의 이익을 얻는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전부지공 반대말
- 자업자득(自業自得): 자신이 한 일의 결과를 스스로 받음
- 자초지종(自招之種): 스스로 자초한 결과로 인한 손해
자업자득은 남 탓 없이 스스로 행동한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진다는 의미로, 타인의 다툼에 개입하지 않고 이득을 얻는 전부지공과 정반대입니다.
자초지종 역시 외부 요인 없이 스스로 빚은 결과를 자기가 감당한다는 의미로, 우연한 수혜와 대비됩니다.
전부지공 비슷한 말
- 견토지쟁(犬兎之爭): 개와 토끼가 싸우는 틈에 제삼자가 토끼를 잡는다
- 방휼지쟁(蚌鷸之爭): 도요새와 조개가 싸우다 어부에게 잡힘
- 어부지리(漁父之利): 둘이 다투는 사이 어부가 이익을 얻음
이들 유의어는 모두 전부지공과 같이 주체 간 갈등에서 전혀 개입하지 않은 제3자가 이익을 보는 구조를 묘사하며, 특히, 어부지리는 가장 널리 알려진 대표 사자성어로서 전부지공과 사실상 동의어로 사용됩니다.
끝맺음
전부지공(田父之功)은 타인의 갈등 속에서 아무런 노력 없이 이익을 챙기는 제삼자의 입장을 풍자하거나 경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전부지공은 또한 불필요한 다툼이 결국 자승자박이 될 수 있음을 경고하며, 상황을 냉정하게 보는 제삼자의 지혜 또는 현실의 아이러니를 표현하는 데 유용한 말입니다.
👇 관련 글 모음
우후송산(雨後送傘)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고미문(前古未聞)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5.20 |
---|---|
전도유망(前途有望)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0) | 2025.05.20 |
운니지차(雲泥之差)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말 (0) | 2025.05.20 |
우후송산(雨後送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5.20 |
요순시대(堯舜時代)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