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상지변(滄桑之變)은 푸른 바다가 뽕밭으로, 뽕밭이 푸른 바다로 바뀐다는 뜻으로, 세월의 흐름 속에 세상이나 인간사의 변화가 매우 크고 심하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창상지변(滄桑之變)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창상지변 뜻
- 滄(푸를 창): 푸른 바다
- 桑(뽕나무 상): 뽕나무 밭
- 之(의 지): ~의
- 變(변할 변): 변화, 변동
'창상지변(滄桑之變)'은 바다가 밭으로, 밭이 다시 바다로 바뀌는 것처럼 세상이나 환경이 크게 바뀌는 일을 가리킵니다. 보통 창상지변은 오랜 시간에 걸친 자연 환경이나 사회적 변화, 문명 전환 등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
창상지변(滄桑之變)은 중국 진(晉)나라 도연명(陶淵明)의 시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본래는 "동해가 뽕밭이 되었다"는 표현(海變爲桑田)을 응용한 말입니다.
고전에서는 세월이 흘러 자연의 모습이나 인간사의 판도가 완전히 바뀐 상황을 이렇게 묘사했습니다. 이후 역사의 격변기나 사회의 급진적 변화를 비유하는 사자성어로 널리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예문
창상지변(滄桑之變)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고향을 오랜만에 찾은 그는 마을의 변화에 창상지변을 실감했다.
- 산업화 이후 농촌이 도시로 바뀌는 모습은 그야말로 창상지변이었다.
- 전통이 사라지고 디지털로 대체되는 오늘날의 모습은 창상지변의 현실을 보여준다.
이처럼 창상지변은 시간이 지나면서 사회, 환경, 문화 등 모든 면에서 격변한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창상지변 반대말
- 태연자약(泰然自若): 아무 일 없어 평온한 상태
- 정중동(靜中動): 겉으로는 변함없지만 내면의 움직임이 있음
태연자약은 변화나 동요 없이 조용하고 평온한 상태를 뜻하여, 격변을 의미하는 창상지변과 반대됩니다.
정중동은 겉모습은 고요하지만 실질적 변화가 없는 상태를 강조해, 외형의 급변을 뜻하는 창상지변과 대비됩니다.
창상지변 비슷한 말
- 상전벽해(桑田碧海): 뽕밭이 바다로, 바다가 뽕밭으로 바뀐다는 뜻
- 동해양진(東海揚塵): 동해에 먼지가 일 만큼 변화가 극심함
- 고안심곡(高岸深谷): 높은 언덕이 깊은 골짜기로 변함
상전벽해는 창상지변과 거의 동의어로, 세상의 변화를 설명할 때 가장 자주 함께 쓰입니다.
동해양진은 바닷물이 사라질 정도의 큰 변화, 고안심곡은 자연과 사회 질서의 변화까지 표현합니다.
이들 모두 예상하기 힘든 급격한 전환 상황을 의미하는 데 적합합니다.
끝맺음
창상지변(滄桑之變)은 세월의 흐름 속에서 일어난 엄청난 변화나 격동의 흐름을 상징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창상지변은 단순한 발전이나 성장 이상의 변화, 세상이 근본적으로 뒤바뀌는 순간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매우 효과적입니다.
특히, 창상지변은 역사적 전환기, 문명 변화, 도시 개발 등 거대한 구조 변화를 설명하는 데 자주 쓰이며, 과거를 회고하거나 미래를 예측하는 글에서 중심 개념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 관련 글 모음
조변석개(朝變夕改)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연지차(天淵之差)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0 |
---|---|
천양지차(天壤之差)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0 |
조석변개(朝夕變改)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말 (0) | 2025.05.20 |
조변석개(朝變夕改)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0 |
조변모개(朝變暮改)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