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자기 이익을 위해선 어떤 명분도 의리도 안중에 없다.” 이처럼, 명분과 도덕을 무시하고 자기 뜻대로만 행동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런 모습을 한마디로 꼬집는 고전적 표현이 있습니다. 바로 간명범의(干名犯義)입니다.
이 글에서는 간명범의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를 소개하겠습니다.
간명범의 뜻
간명범의(干名犯義)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사자성어입니다.
- 간(干): 범하다, 침범하다
- 명(名): 명분
- 범(犯): 어기다
- 의(義): 의리, 도의
간명범의는 직역하면 “명분을 해치고 의리를 어긴다”, 의역하면 “도덕적 질서와 인간관계의 의리를 무시하고 행동한다”는 뜻입니다.
유래
간명범의는 중국 고전 문헌에서 유래된 것으로, 주로 인간관계에서 의리를 배반하거나, 사회의 도리를 무시하는 행동을 비판할 때 사용되었습니다.
현대에 와서는 사회적 책임을 저버리고 이기적인 행동만을 일삼는 사람, 또는 권력을 위해 신의를 저버리는 행위를 풍자할 때 자주 인용됩니다.
예문
간명범의는 단순히 ‘무례하다’는 정도의 말이 아닙니다. 명분과 도덕, 그리고 의리를 의도적으로 깨뜨린 중대한 비윤리적 행위를 지적할 때 사용됩니다. 예시로는 다음과 같은 상황이 있습니다.
- 형제처럼 지내던 사이였는데, 뒤에서 배신하다니 간명범의지 뭐.
- 회사의 명예는 생각도 안 하고, 자기 이익만 챙기다니 간명범의라는 말밖에 안 떠오르네.
- 정치적 목적을 위해 동료를 헌신짝처럼 버리다니, 완전히 간명범의야.
- 간명범의하는 자가 높은 자리에 있는 걸 보면 세상이 참 뒤집혀 있지.
이처럼 간명범의는 윤리의식이 없는 행동이나 신의를 저버리는 관계 파괴를 강하게 비판할 때 쓰이는 말입니다.
간명범의 반대말
간명범의의 반대말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간명범의가 명분과 의리를 어기는 행위를 뜻한다면, 반대말은 명분을 지키고, 도리를 따르며, 의리를 중시하는 자세를 나타냅니다.
- 지조지수(志操之守) – 뜻과 절개를 굳게 지킴.
- 사직지신(社稷之臣) – 나라의 명분과 의리를 지키는 충신.
- 살신성인(殺身成仁) – 자신을 희생해서라도 도를 지킴.
이러한 표현들은 모두 윤리적 기준과 사회적 명분을 지키려는 자세를 상징합니다.
간명범의 유의어
간명범의의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비슷한 의미로 쓰이는 사자성어는 의리 없음, 도의 무시, 비윤리적 행동과 관련된 표현들입니다.
- 배은망덕(背恩忘德) – 은혜를 잊고 도리를 저버림.
- 구밀복검(口蜜腹劍) – 입으로는 달콤하게 말하지만 속으로는 해치려 함.
- 양두구육(羊頭狗肉) – 겉과 속이 다른 위선적 태도.
- 사리사욕(私利私慾) – 공익보다는 사익만 추구함.
- 면종복배(面從腹背) – 겉으론 순종하지만 속으론 배반함.
이 사자성어들은 모두 간명범의처럼 이기적이고 신뢰를 깨는 행위를 비판하는 말로 사용됩니다.
끝맺음
간명범의는 단지 한 개인의 문제로 끝나지 않습니다. 한 명의 배신, 한 번의 의리 파괴가 공동체 전체에 영향을 주는 일이기도 하죠.
지켜야 할 도리가 무너지고, 따라야 할 명분이 무시될 때, 그 사회는 흔들릴 수밖에 없습니다.
간명범의하지 않는 삶. 그것이 우리가 품어야 할 최소한의 품격이자 책임입니다.
👇 관련 글 모음
간담상조(肝膽相照)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운보월(看雲步月)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18 |
---|---|
간어제초(間於齊楚)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18 |
간담상조(肝膽相照)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18 |
간난신고(艱難辛苦)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18 |
각주구검(刻舟求劍)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