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난형난제(難兄難弟)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썸네일

 

'난형난제(難兄難弟)'는 형이라 하기도 어렵고, 동생이라 하기도 어려울 정도로 두 사람의 실력이나 인품이 엇비슷하여 우열을 가리기 어렵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난형난제(難兄難弟)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난형난제 뜻

'난형난제(難兄難弟)'는 '형이라 하기도 어렵고, 동생이라 하기도 어렵다', 즉 두 사람 사이에 우열을 가리기 힘들 만큼 비슷한 실력이나 성품을 가졌음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 難(어려울 난): 어렵다
  • 兄(형 형): 형
  • 難(어려울 난): 어렵다 (중복된 의미 강조)
  • 弟(아우 제): 동생

난형난제는 주로 실력이나 능력이 엇비슷한 두 사람, 또는 경쟁자 간에 어느 쪽이 더 낫다고 말하기 힘든 경우에 사용됩니다.

 

유래

난형난제는 중국 남북조시대 송나라의 유학자 유의경(劉義慶)이 지은 『세설신어(世說新語)』에 등장하는 고사에서 유래합니다. 당시 유명한 학자 배잠(裴潛)과 그의 동생 배굉(裴宏)이 있었는데,
어느 날 한 사람이 두 사람 중 누가 더 나은지를 묻자, 사람들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裴潛與裴宏 難兄難弟也.”
(배잠과 배굉은 형이라 하기도 어렵고, 동생이라 하기도 어렵다.)

이처럼 둘 다 뛰어나서 누가 더 낫다고 판단하기 어려운 관계를 지칭하는 말로 굳어졌습니다.

 

예문

난형난제는 경쟁 구도나 비교 상황에서 두 사람의 실력이나 인품이 비슷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 이번 공모전에서 1, 2위는 실력으로 따지면 난형난제였다.
    → 두 사람 모두 뛰어나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경우
  • 두 명의 후보가 모두 훌륭해서 누구를 뽑아도 될 만큼 난형난제의 경쟁이었다.
    → 실력 차이가 거의 없는 선의의 경쟁
  • 두 친구는 공부든 운동이든 항상 엇비슷한 성적을 보여 난형난제라는 말이 어울렸다.
    → 능력치가 비슷한 관계에 대한 묘사

 

한자한자

 

난형난제 반대말

난형난제의 반대 의미를 가진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천양지차(天壤之差): 하늘과 땅 차이, 매우 큰 차이
    → 두 사람의 실력이나 수준 차이가 현격할 때
  • 명약관화(明若觀火): 불을 보듯 분명함
    → 누가 더 우위인지 명확하게 드러나는 상황
  • 현격지차(懸隔之差): 걸쳐 있는 큰 차이
    → 두 존재 간의 우열이 명확히 구분될 때

이러한 표현들은 모두 한쪽이 압도적으로 뛰어난 상황을 묘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난형난제 유의어

난형난제와 비슷한 의미의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막상막하(莫上莫下): 위도 없고 아래도 없다, 실력이 서로 비슷함
  • 백중지세(伯仲之勢): 백중지간, 형제간의 우열이 없다
  • 호각지세(互角之勢): 각이 서로 같다, 실력이 대등함

이 유의어들은 모두 경쟁자 간 실력이 대등하거나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관계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끝맺음

'난형난제(難兄難弟)'는 단순한 비교가 아니라, 서로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대등한 관계를 상징하는 표현이기도 합니다.

누군가와 경쟁하면서도 서로를 자극하고 성장하게 만드는 존재가 있다면, 그 관계는 ‘난형난제’이자 동시에 긍정적인 경쟁 관계라 할 수 있습니다. 당신 곁에는 그런 존재가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