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문경지교(刎頸之交)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썸네일

 

문경지교(刎頸之交)는 ‘목이 잘려도 변하지 않는 우정’을 뜻하는 사자성어로, 목숨을 내놓을 만큼 깊고 절대적인 친구 사이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문경지교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문경지교 뜻

문경지교(刎頸之交)는 목이 잘리는 한이 있더라도 변치 않는 친구 사이를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즉, 생사를 함께할 정도로 절대적인 신뢰를 바탕으로 한 우정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 刎(목 벨 문): 목을 베다
  • 頸(목 경): 목
  • 之(갈 지): ~의
  • 交(사귈 교): 사귐, 관계, 우정

문경지교는 단순한 친밀함을 넘어서 의리와 생명을 건 친구 관계를 의미하며, 주로 절친한 친구, 충직한 부하와의 관계를 말할 때 쓰입니다.

 

유래

‘문경지교’는 중국 전국시대 조나라의 인물 조생(趙生)과 형가(荊軻)의 일화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사기(史記)·자객열전》에서 전해지는 내용에 따르면, 조나라 장수 조생과 형가는 서로에 대한 신뢰가 깊어, "네가 나를 배신한다면 내 목을 벨 것이다"라고 할 정도로 절친한 사이였다고 합니다.

이 이야기는 후세에 죽음을 무릅쓸 만큼 굳건한 우정의 상징으로 전해지며 ‘문경지교’라는 사자성어로 정리되었습니다.

 

예문

문경지교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둘은 어려운 시절을 함께 견디며 문경지교를 맺은 사이였다.
  • 위기의 순간에도 나를 끝까지 믿어준 그는 진정한 문경지교라 부를 만하다.
  • 전란에서 목숨을 걸고 서로를 지켜낸 두 사람의 우정은 문경지교 그 자체였다.

한자한자

 

문경지교 반대말

문경지교와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면종복배(面從腹背): 겉으로는 따르지만 속으로는 거역하는 태도를 뜻하며, 진실된 우정을 가장한 위선적인 관계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 양봉음위(陽奉陰違): 겉으로는 순종하고 따르지만 속으로는 반대한다는 뜻으로, 신뢰 없는 이중적인 인간관계를 나타냅니다.

 

문경지교 유의어

문경지교와 유사한 의미를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문경지우(刎頸之友): 문경지교와 동일한 유래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목숨을 바칠 수 있을 만큼 절대적인 친구를 의미합니다.
  • 금란지계(金蘭之契): 금처럼 견고하고 난초처럼 향기로운 우정으로, 고귀하고 아름다운 친구 사이를 뜻합니다.
  • 막역지우(莫逆之友): 서로 거스름이 없는 절친한 친구를 뜻하는 말로, 속마음까지 터놓고 교류하는 깊은 우정을 표현합니다.

 

끝맺음

문경지교(刎頸之交)는 단순히 친한 친구 사이를 넘어, 생사조차 함께할 수 있는 깊은 의리와 절대적인 신뢰를 상징하는 사자성어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이런 우정을 만나는 일은 흔치 않지만, 누군가에게 믿음을 주고, 믿을 수 있는 사람이 되는 일만큼 소중한 가치는 없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