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반포지효(反哺之孝)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썸네일

 

반포지효(反哺之孝)는 자식이 자라 부모에게 은혜를 갚는 효심을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반포지효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반포지효 뜻

반포지효(反哺之孝)는 새끼 까마귀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효성에서 유래한 말로, 자식이 성장한 후 부모의 은혜에 보답하는 효행을 뜻합니다.

  • 反(돌이킬 반): 되갚다
  • 哺(먹일 포): 먹이다
  • 之(갈 지): ~의
  • 孝(효도 효): 효도

즉, 반포지효는 ‘부모에게 받은 은혜를 자식이 되돌려주는 행위’를 의미하며, 자식 된 도리, 또는 효의 실천을 강조할 때 자주 인용됩니다.

 

유래

‘반포지효’는 중국 고전 《후한서(後漢書)》 등에 등장하며, 까마귀가 자라 어미 새에게 먹이를 돼 물어다 주는 습성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반포지효는 자연계에서도 존재하는 본능적 보은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졌고, 사람에게 있어서는 효도의 본보기이자 인간의 도리로서의 실천 과제로 자리 잡았습니다.

조선 시대 유교 문화권에서도 대표적인 효행 사례로 교육되고 예시로 반포지효가 자주 활용되었습니다.

 

예문

반포지효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식으로서 부모님을 봉양하는 것은 당연한 반포지효라 할 수 있다.
  • 그는 젊은 시절 부모에게 많은 도움을 받았기에, 중년이 되자 반포지효를 실천하며 살아간다.
  • 부모님께 드리는 여행 선물은 그의 반포지효의 작은 표현이었다.

한자한자

 

반포지효 반대말

반포지효와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패륜무도(悖倫無道): 인륜을 어기고 도리에 맞지 않는다는 뜻으로, 부모를 거역하거나 효를 저버리는 극단적인 불효를 상징합니다.
  • 부자불목(父子不睦): 아버지와 자식 사이가 화목하지 않다는 뜻으로, 가정 내 기본적인 효도 관계가 무너진 상태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반포지효 유의어

반포지효와 유사한 의미의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반포보은(反哺報恩): 되돌려 먹이며 은혜를 갚는다는 뜻으로, 부모나 은인에게 받은 은혜를 실천적으로 되갚는 태도를 강조합니다.
  • 출필곡 반필면(出必告 反必面): 나갈 때는 반드시 고하고, 돌아오면 반드시 얼굴을 뵌다는 뜻으로, 부모에 대한 예의와 효심을 행동으로 실천하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 혼정신성(昏定晨省): 밤에는 부모의 잠자리를 보살피고, 아침에는 안부를 묻는다는 뜻으로, 일상 속에서 부모를 극진히 모시는 생활 속 효행을 표현합니다.

 

끝맺음

반포지효(反哺之孝)는 단순한 효도의 상징이 아니라, 사람으로서 지켜야 할 도리이자 가족 간의 가장 본질적인 정을 말해주는 사자성어입니다.
부모로부터 받은 사랑을 기억하고, 그것을 행동과 마음으로 되갚아 나가는 삶, 그것이 바로 인간관계의 기본이며, 따뜻한 사회의 시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