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편부당(不偏不黨)은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공정하게 행동한다는 뜻으로, 개인의 이해관계나 감정에 흔들리지 않고 바르고 공평한 입장을 유지하는 자세를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불편부당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불편부당 뜻
불편부당(不偏不黨)은 치우치지 않고, 한 편에 서지 않는다는 의미로, 공정하고 객관적인 태도, 또는 중립적인 입장을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 不(아닐 불): 아니다
- 偏(치우칠 편): 편향되다
- 黨(무리 당): 당파, 편
즉, 불편부당은 특정 세력이나 의견에 쏠리지 않고 공정함과 중립성을 유지하는 태도를 상징합니다.
유래
‘불편부당’은 유교 경전인 《중용(中庸)》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공자와 주희 등의 학자들이 강조한 군자의 도리 중 하나로서 공정함과 균형감각을 나타냅니다.
특히 조선시대 사대부들은 불편부당을 청렴한 관리, 올곧은 선비정신의 상징으로 자주 사용했습니다.
예문
불편부당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언론은 불편부당한 자세로 사건을 보도해야 한다.
- 그는 언제나 불편부당하게 행동해 사람들의 신뢰를 얻었다.
- 판사는 불편부당의 원칙에 따라 공정하게 판결을 내렸다.
불편부당 반대말
불편부당과 반대되는 의미의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편당영합(偏黨迎合): 한쪽 당파에 치우쳐 아부한다는 뜻으로, 객관성을 잃고 이익을 좇아 움직이는 태도를 비판합니다.
- 사사로이(私私): 사적인 이익이나 관계에 얽매인다는 의미로, 공적 기준보다 개인적 감정에 따라 행동하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불편부당 유의어
불편부당과 유사한 뜻을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무편무당(無偏無黨): 어느 쪽에도 치우치거나 편들지 않는다는 뜻으로, 불편부당과 동일한 의미의 표현입니다.
- 공명정대(公明正大): 공정하고 밝으며 올곧다는 뜻으로, 정직하고 투명한 처신과 태도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 중용지도(中庸之道): 치우치지 않는 중도의 길이라는 의미로, 극단을 피하고 조화를 추구하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끝맺음
불편부당(不偏不黨)은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가치입니다. 복잡하고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힌 현실 속에서, 객관성과 공정성을 지키는 자세는 신뢰를 얻는 가장 강력한 무기가 됩니다.
누구의 편도 들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오직 '옳은 편'에 서는 태도, 그것이 바로 불편부당이 전하고자 하는 핵심입니다.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빙산일각(氷山一角)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0 |
---|---|
불혹(不惑)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0 |
별유천지(別有天地)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0 |
백해무익(百害無益)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0 |
백해구통(百骸俱痛)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