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자정리(會者定離)는 만나는 사람은 언젠가 반드시 헤어지게 된다는 뜻으로, 세상의 이치상 모든 만남에는 이별이 따름을 나타내는 불교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회자정리(會者定離)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회자정리 뜻
- 會(모일 회): 만나다, 모이다
- 者(사람 자): ~하는 사람
- 定(정할 정): 반드시, 정해진
- 離(떨어질 리): 이별하다, 떠나다
'회자정리(會者定離)'는 만나는 자는 반드시 이별하게 된다는 의미로, 세상만사의 무상함과 이별의 필연성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불교에서 회자정리는 이 생의 모든 인연은 언젠가 끝나며, 만남이 있으면 이별도 있다는 진리를 받아들이는 자세를 말합니다.
유래
회자정리(會者定離)는 불교 경전인 법구경(法句經)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부처는 제자들에게 “모인 자는 흩어지고, 만난 자는 반드시 이별하며, 생자는 필사한다(會者定離 生者必滅)”고 가르치며 모든 존재는 무상하며 변화와 이별이 자연의 이치임을 강조하였습니다.
이 말은 후에 회자정리라는 네 글자의 사자성어로 간결하게 압축되어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예문
회자정리(會者定離)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졸업식장에서 우리는 회자정리의 아쉬움을 느끼며 서로를 떠나보냈다.
- 아무리 사랑하는 사람이라도 결국은 회자정리의 이치에서 벗어날 수 없다.
- 여행지에서 만난 인연과의 작별은 늘 회자정리를 떠올리게 한다.
위 예문처럼 회자정리는 소중한 인연이 끝나는 아쉬움과, 그 이별을 받아들이는 마음을 표현할 때 자주 쓰입니다.
회자정리 반대말
- 거자필반(去者必返): 떠난 자는 반드시 돌아온다
거자필반은 헤어진 사람과 반드시 다시 만날 운명이라는 뜻으로, 필연적 이별을 말하는 회자정리와 정반대의 관념을 담고 있습니다.
회자정리 유의어
- 생자필멸(生者必滅): 태어난 자는 반드시 죽는다
생자필멸은 회자정리와 함께 불교의 대표적인 무상함의 진리를 표현하며, 삶과 만남의 유한함을 강조합니다.
끝맺음
회자정리(會者定離)는 모든 인연과 관계가 영원하지 않으며, 만남이 있다면 반드시 이별이 따름을 받아들이는 지혜를 담고 있는 말입니다.
비록 이별은 아프고 슬플 수 있지만, 그 안에서 더 깊은 감사와 의미를 찾는다면 회자정리는 단순한 상실이 아니라 성숙의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 관련 글 모음
황구소아(黃口小兒)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시(嚆矢)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9 |
---|---|
횡설수설(橫說竪說) 뜻, 유래, 예시 문장 (0) | 2025.05.19 |
황구유취(黃口乳臭)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5.19 |
황구소아(黃口小兒) 뜻, 유래, 예시 문장 (0) | 2025.05.19 |
환호작약(歡呼雀躍)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