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671

일망무애(一望無礙)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일망무애(一望無礙)는 시야를 가리는 장애물이 하나도 없이 넓고 탁 트인 풍경을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단순한 물리적 시야뿐만 아니라 마음이나 사고의 자유로움에도 비유되어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일망무애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일망무애 뜻一(하나 일): 하나望(바랄 망): 바라보다無(없을 무): 없다礙(거리낄 애): 장애물일망무애(一望無礙)는 "한눈에 바라보아도 막힘이 없다"는 뜻으로, 시야가 넓고 가로막는 것이 없는 상황을 의미합니다.일망무애는 확 트인 들판이나 넓은 바다를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되며, 때로는 마음의 탁 트임이나 생각의 자유로움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때도 사용됩니다. 유래 일망무애는 고전 문헌보다는 풍경 묘사나 심리 묘사에서 후대에 자주 활용된 표현으..
이이제이(以夷制夷)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이이제이(以夷制夷)는 ‘오랑캐로 오랑캐를 제어한다’는 의미의 사자성어로, 적을 다른 적으로 제압하는 전략을 나타냅니다. 오늘은 이이제이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이이제이 뜻以(써 이): ~을 써서夷(오랑캐 이): 오랑캐制(억제할 제): 제어하다夷(오랑캐 이): 오랑캐이이제이(以夷制夷)는 한 오랑캐를 이용해 다른 오랑캐를 제어한다는 뜻으로, 적을 이용해 또 다른 적을 다스리는 전략을 의미합니다.이이제이는 외부 세력을 상호 충돌시키거나 이간질하여 간접적으로 제어하는 전술적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유래이이제이는 『사기(史記)』와 『삼국지』 등 중국 고전에서 유래된 고사로, 실제 고대 전란과 외교 전략에서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대표적으로 진나라가 흉노를 견제하기 위해 다른 유..
어로불변(語路不辨)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어로불변은 말 '語'와 길 '路'를 구분하지 못할 정도로 무식한 사람을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어로불변의 정확한 뜻과 유래, 활용 예문, 반대말, 유의어까지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어로불변 뜻語(말씀 어): 말, 언어路(길 로): 길不(아닐 불): 아니다辨(분별할 변): 분별하다, 가리다어로불변은 문자 그대로 "말과 길조차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이는 매우 무식하거나, 글을 전혀 모르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표현으로 사용됩니다.어로불변은 교육을 받지 못하거나 학문이 없는 사람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무지와 무식을 풍자하거나 비판할 때 쓰이는 말입니다. 유래어로불변은 고전에서 유래한 말은 아니지만, 옛 문헌과 설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표현입니다. 특히, 말과 글을 혼동하는 사람을 풍..
하마평이란 뜻, 어원, 예문, 영어로 뭐라고 할까? 뉴스나 정치 기사, 인사 발표 관련 보도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하마평’입니다."차기 총리 하마평에 올랐다", "신임 장관 후보로 하마평이 무성하다"는 표현을 보면 무슨 뜻인지 대충은 짐작할 수 있지만, 그 정확한 어원과 사용 방법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오늘은 하마평의 정확한 뜻, 어원, 실제 예문, 그리고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하는지까지 전부 정리해 보겠습니다. 하마평 뜻 하마(下馬): 말에서 내린다 평(評): 논하다, 평가하다 ‘하마(下馬)’는 조선 시대에 관청에 들어가기 전에 말에서 내려 예를 표하던 행위에서 비롯됐고, ‘하마평(下馬評)’은 말에서 내리기 전 누가 그 자리에 들어갈지에 대해 나누는 이야기라는 의미가 됩니다.이는 즉 누가 특정한 고위직이나 중요한 자리에 오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