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속담

가뭄에 콩 나듯 한다 뜻, 유래, 예시, 비슷한 말

by 하루리쌤

가뭄에 콩 나듯 한다는 어떤 일이 매우 드물게 일어날 때, 혹은 횟수가 극히 적을 때 쓰이는 속담입니다.

썸네일

 

이번 글에서는 속담 가뭄에 콩 나듯 한다의 뜻, 유래, 예시, 비슷한 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뭄에 콩 나듯 한다 뜻

가뭄에 콩 나듯 한다어떤 일이 극히 드물거나 아주 가끔 일어남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속담입니다.

가뭄은 비가 거의 오지 않는 상태이고, 그런 상황에서는 콩도 잘 자라지 않기 때문에 "가뭄에 콩이 싹트듯 아주 드문 일"이라는 의미가 됩니다.

즉, 어떤 행동이나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해도 매우 간헐적이거나 희박한 빈도로 일어남을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유래

이 속담은 농경 사회의 경험에서 나온 전통 속담입니다. 가뭄이 들면 곡식이 제대로 자라기 어려운 환경이 되는 만큼, 콩이 싹을 틔우는 일조차 매우 드문 경우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이런 자연적 비유가 사람들의 생활 속 표현으로 자리 잡아, 무언가가 매우 희소할 때 쓰는 관용적 표현이 된 것입니다.

 

예시

가뭄에 콩 나듯 한다는 표현은 일상에서 다음과 같은 상황에 자주 쓰입니다.

  • 그는 연락이 정말 뜸하다. 문자 오는 것도 가뭄에 콩 나듯 한다.
    → 연락이 거의 없는 사람을 묘사할 때
  • 회의 시간에 의견 내는 사람이 없고, 말이 나오는 것도 가뭄에 콩 나듯 하다.
    → 발언이나 참여가 매우 드문 상황
  • 그 식당은 이벤트를 가뭄에 콩 나듯 해서 쿠폰 쓸 일이 거의 없다.
    → 혜택이나 기회가 매우 제한적일 때

속담속담

 

가뭄에 콩 나듯 한다 비슷한 말

가뭄에 콩 나듯 한다와 유사한 의미를 가진 속담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하늘의 별 따기
    → 매우 드물고 어려운 일이라는 점에서 유사
  • 달에 가서 떡 먹겠다
    →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거나 비현실적인 일을 뜻함
  • 천에 하나 만에 하나
    → 수천 번 중 한 번 일어날까 말까 한 매우 드문 일

이러한 속담들은 모두 어떤 일이 일어날 확률이나 빈도가 매우 낮다는 뜻을 강조하는 표현들입니다.

 

끝맺음

가뭄에 콩 나듯 한다는 속담은 어떤 일이 너무 드물어서 거의 일어나지 않는 상황을 풍자하거나 강조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실생활에서는 사람의 태도, 말의 횟수, 기회, 일정한 현상 등을 설명할 때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습니다. 어떤 일이 너무 드물어 아쉽거나, 반대로 특별해서 더 가치 있게 느껴질 때, 이 속담을 활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