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개과불린(改過不憐)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누구나 실수는 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그 실수를 어떻게 대하느냐입니다. 우리는 타인의 잘못에 대해 쉽게 분노하지만, 그가 진심으로 뉘우치고 바꿨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로 이런 상황에 대해 묻는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오늘 소개할 말은 바로 '개과불린(改過不憐)'입니다. 실수를 바로잡은 사람에 대한 관용과 공정성의 의미를 담고 있는 네 글자입니다.

 

썸네일

 

이번 글에서는 개과불린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를 소개하겠습니다.

 

개과불린 뜻

'개과불린(改過不憐)'은 '지난 잘못을 고쳤다면, 그 사람을 더 이상 불쌍히 여기거나 비난하지 말아야 한다'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 改(고칠 개)
  • 過(허물 과)
  • 不(아닐 불)
  • 憐(불쌍히 여길 련)

즉, 잘못을 저질렀더라도 진심으로 반성하고 고쳤다면, 그 사람을 향한 비난이나 동정은 멈춰야 한다는 도덕적 태도를 말합니다.
이는 단순히 실수에 대한 처벌을 멈추자는 차원을 넘어, 회복과 용서, 변화에 대한 인정의 자세를 상징합니다.

 

유래

개과불린은 유교 사상의 핵심 중 하나로, 공자와 그 제자들의 언행록논어(論語)나 관련 유교 문헌에서 파생된 개념입니다.

유교에서는 '인간은 본래 선하다'는 성선설을 기반으로, 잘못을 고친 사람을 계속 비난하거나 무시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고 가르칩니다. 개과불린은 유교뿐 아니라 현대의 형법 체계, 심리 상담, 교육 분야에서도 중요한 가치로 이어집니다.

 

예문

개과불린은 교육 현장, 조직 관리, 인간관계, 사회 복귀 등의 맥락에서 자연스럽게 사용될 수 있는 표현입니다. 과거가 아닌 현재의 사람을 볼 줄 아는 태도가 그 핵심입니다.

  • 그는 예전엔 무책임했지만 지금은 누구보다 성실하다. 이쯤 되면 개과불린의 태도가 필요하지 않을까?
  • 과거 실수를 반복해서 언급하지 마. 그 친구는 이미 바뀌었어. 개과불린이란 말도 있잖아.
  • 교도소 출신이라고 무작정 배제하는 건 옳지 않다. 진심으로 반성한 이들에게는 개과불린의 자세가 필요하다.

한자한자

 

개과불린 반대말

개과불린의 반대 개념은 실수를 고쳐도 계속 탓하거나, 기회를 주지 않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직접적인 반대 사자성어는 많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표현들이 맥락상 대비됩니다.

  • 문책지교(問責之敎) – 잘못에 대해 끝까지 책임을 묻는 교육 방식
  • 오문불망(誤問不忘) – 과거의 잘못을 잊지 않고 되풀이해 물음
  • 기왕지사(旣往之事) – 이미 지나간 일

이러한 표현들은 용서보다 처벌을, 변화보다 낙인을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합니다. 개과불린은 이러한 경직된 태도에 대한 반성과 성찰의 메시지를 던지는 말입니다.

 

개과불린 유의어

개과불린과 유사한 의미를 가진 사자성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들은 모두 용서, 변화, 기회의 의미를 담고 있어요.

  • 개전의정(改悛之情) – 잘못을 뉘우치고 고치려는 마음
  • 대인대도(大人大度) – 넓은 마음으로 용서하고 받아들이는 자세
  • 해과불문(解過不問) – 잘못을 풀면 따지지 않음
  • 과이불개(過而不改) – 잘못을 고치지 않음 → 개과불린과 대비되는 상황
  • 불문곡직(不問曲直) – 옳고 그름을 따지지 않고 용서함 (과용 시 문제 발생)

개과불린은 그중에서도 특히 '잘못을 고친 이후의 태도'에 집중한다는 점에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끝맺음

개과불린은 우리 사회에 꼭 필요한 가치입니다. 누구나 실수할 수 있고, 누구나 변할 수 있습니다. 그 변화의 진정성을 인정하고, 두 번째 기회를 주는 태도가 더 성숙한 공동체, 더 건강한 인간관계를 만들어줍니다. 과거는 지나갔고, 지금의 모습이 더 중요합니다. 그것이 바로 개과불린의 정신입니다.

 

 

👇 관련 글 모음
갑남을녀(甲男乙女) ⭐

강호연파(江湖煙波)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