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강구연월(康衢煙月)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요즘처럼 불안한 시대에, 누구나 꿈꾸는 세상이 있습니다. 전쟁도 없고, 배고픔도 없으며, 사람들 얼굴에 웃음이 떠나지 않는 사회. 그런 태평하고 평화로운 풍경을 네 글자로 담아낸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바로 '강구연월(康衢煙月)'입니다. 이 표현에는 단순한 거리 풍경 그 이상의 시대적 염원이 담겨 있죠.

 

썸네일

 

오늘은 강구연월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강구연월 뜻

'강구연월(康衢煙月)'은 '번화한 거리에서 연기 사이로 달빛이 은은하게 비친다'는 의미를 가진 사자성어입니다.

  • 康(편안할 강)
  • 衢(네거리 구)
  • 煙(연기 연)
  • 月(달 월)

강구연월은 직역하면 편안한 네거리 위로 달빛과 연기가 어우러지는 평온한 장면을 뜻하며, 의역하면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평화롭게 살아가는 이상적인 세상의 풍경을 표현합니다.

강구연월은 단지 거리의 모습이 아니라, 그 거리 속 사람들의 삶이 평화롭고 걱정이 없는 상태를 상징합니다.

 

유래

강구연월은 중국 고전 시가문인들의 문장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특히, 송나라나 한나라 시대의 태평성대를 묘사할 때 등장합니다. '강구(康衢)'는 본래 사거리 큰 길, 즉 번화한 거리를 뜻하며, '연월(煙月)'은 달빛과 밥 짓는 연기, 즉 사람 사는 풍경을 뜻합니다.

따라서 강구연월은 나라가 안정되고 백성들이 풍족한 상태, 그리고 그로 인해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는 평화로운 일상의 풍경을 시적으로 표현한 말입니다. 오늘날에도 이 표현은 사회가 안정되고 평화로울 때, 또는 이상적인 삶의 모습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예문

강구연월은 과거의 이상향만을 말하는 게 아니라, 현대에서도 사람들이 바라는 사회의 모습, 즉 안전하고 걱정 없는 삶에 대한 상징적인 표현으로 자주 활용됩니다.

  • 그 시절은 진정한 강구연월의 시대였다고 할 수 있다.
  • 정치가 안정되고 경제도 호황이라니, 요즘이야말로 강구연월 같은 시기다.
  • 소박하지만 모두가 웃는 그런 마을, 바로 내가 꿈꾸는 강구연월의 세상이다.

한자한자

 

강구연월 반대말

강구연월의 반대 개념은 불안과 혼란이 가득한 사회, 즉 정치적, 사회적으로 극도로 혼란한 시기를 가리키는 사자성어들이 해당됩니다.

  • 도탄지고(塗炭之苦) – 진흙과 숯불 속 같은 고통, 극심한 민생고
  • 풍전등화(風前燈火) – 바람 앞의 등불처럼 위태로운 상태
  • 암중모색(暗中摸索) – 앞이 안 보이는 상황에서의 혼란스러운 탐색
  • 누란지위(累卵之危) – 쌓아 놓은 달걀처럼 위태로운 형세

이러한 표현들은 강구연월이 상징하는 안정과 평온의 반대편에 위치한 개념들입니다.

 

강구연월 유의어

강구연월과 뜻이 유사한 사자성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들 모두 태평성대, 평화로운 사회, 안정된 생활을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 고복격양(鼓腹擊壤) – 배를 두드리며 흙덩이를 치는 여유로운 삶
  • 요순시대(堯舜時代) – 이상적인 성군의 치세, 태평성대
  • 태평성대(太平聖代) – 전쟁과 굶주림이 없는 이상적인 시대
  • 태평연월(太平煙月) – 평화롭고 아름다운 세월
  • 함포고복(含哺鼓腹) – 입에 음식을 물고 배를 두드릴 만큼 평화로운 삶

이러한 표현들은 강구연월과 함께 이상 사회, 안정된 나라, 평화로운 일상을 묘사할 때 함께 사용됩니다.

 

끝맺음

강구연월은 단지 고전적 아름다움을 묘사하는 말이 아닙니다. 그 안에는 모두가 안전하고 여유 있게 살아가는 세상을 향한 바람이 담겨 있습니다. 전쟁 없는 시대, 걱정 없는 나라, 웃음이 넘치는 사람들. 그런 세상이야말로 진짜 강구연월입니다.

지금 우리 사회는 강구연월을 향해 가고 있나요? 아름다운 달빛과 연기처럼, 은은하지만 분명히 느껴지는 평화를 함께 만들어가야 할 때입니다.

 

 

👇 관련 글 모음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

갑남을녀(甲男乙女)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