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개선광정(改善匡正)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조직, 사회, 개인이 끊임없이 발전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바로 '자기 진단'과 '개선의지'입니다. 잘못된 점을 인식하고 바로잡는 과정 없이 성장하는 곳은 없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개선광정(改善匡正)'이라는 사자성어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지혜를 담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개선광정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개선광정 뜻

'개선광정(改善匡正)'은 '잘못된 점을 고치고, 그릇된 것을 바로잡는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 改(고칠 개)
  • 善(착할 선)
  • 匡(바를 광)
  • 正(바를 정)

즉, 개선광정은 기존에 있던 문제나 부정, 왜곡 등을 고치고 개선함으로써 올바른 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개선광정은 행정개혁, 정치 개편, 조직 개선, 자기반성 및 혁신 등의 상황에서 자주 활용되며, 현대적 의미로는 리뉴얼, 혁신, 리폼과도 연결됩니다.

 

유래

개선광정이라는 사자성어는 중국 고전 유가 문헌에서 유래한 조어적 표현으로, 공자와 맹자가 강조한 수기치인(修己治人) 사상,
자기 수양과 사회 정의 실현을 기반으로 발전한 개념입니다.

특히, 정치적으로는 '성군은 잘못된 정치를 개선하고, 백성을 바르게 인도해야 한다'는 교훈으로 쓰였으며, 조선시대에도 개혁을 시도한 정조, 세종, 세종실록의 기록 등에서도 이 개념이 반영된 문장들이 자주 보입니다.

오늘날에는 조직개선, 시스템개혁, 기업혁신, 자기 계발 분야에서 널리 인용되고 있으며, 윤리적인 리더십을 갖춘 인물의 필수 조건으로도 해석됩니다.

 

예문

개선광정은 문제를 외면하지 않고, 직접 맞서 바꾸려는 의지를 상징하는 언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사자성어는 리더십, 경영, 교육, 자기 계발, 정책 보고서 등 다방면에서 활용되며, 단순한 '개선' 그 이상의 의미, 즉 정의와 실천이 결합된 변화의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 정부는 공공기관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선광정의 태도로 접근하겠다고 발표했다.
  • 회사의 복지 시스템도 시대에 맞게 개선광정 할 필요가 있다.
  • 나의 부족한 습관을 돌아보며, 이번 한 해는 개선광정의 시간으로 삼고 싶다.

한자한자

 

개선광정 반대말

개선광정의 반대 개념은 문제를 알고도 고치지 않거나, 오히려 악화시키는 행위입니다. 다음과 같은 사자성어들이 비교적 반대 의미로 쓰일 수 있습니다.

  • 방기무책(放棄無策) – 손 놓고 아무런 대책도 세우지 않음
  • 묵과불문(黙過不問) – 잘못을 보고도 모른 척함
  • 적폐누적(積弊累積) – 고질적인 문제가 반복되고 쌓임

이러한 표현들은 개선광정이 지향하는 '실천과 변화'의 철학과 대조되는 태도로, 현실을 무시하거나 책임을 회피할 때의 문제점을 드러냅니다.

 

개선광정 유의어

개선광정과 비슷한 의미를 가진 사자성어들도 많이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변화, 개혁, 정화, 반성, 정의 실현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쓰입니다.

  • 혁고정신(革故鼎新) – 묵은 것을 없애고 새것을 세움
  • 척폐습신(斥弊習新) – 폐단을 제거하고 새 기풍을 받아들임
  • 정본청원(正本淸源) – 근본을 바로잡고, 근원을 맑게 함
  • 정가오단(整家烏丹) – 집안을 정리하고 기강을 바로잡음
  • 교학상장(敎學相長) – 서로 배우며 함께 성장함 (자기 성찰 맥락)

이러한 표현은 개선광정과 함께 쓰이며, 문제 인식 → 변화 → 정화 → 성장의 흐름을 나타냅니다.

 

끝맺음

개선광정에는 잘못을 뉘우치고 고치며, 바르게 이끌어가려는 책임감이 담겨 있습니다. 개인이든, 조직이든, 국가든 '지금 이대로 괜찮은가?'라는 질문을 던져야 할 때, 우리가 선택해야 할 자세는 개선광정입니다.

 

 

👇 관련 글 모음
개과천선(改過遷善) ⭐

개관사정(蓋棺事定)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