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사람, 진짜 천재야." 누군가를 이렇게 말할 수 있는 순간은 흔치 않죠. 그 사람이 가진 역량이 한 시대를 뒤흔들고, 수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줄 만큼 탁월하다면, 우리는 그를 단 한마디로 이렇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바로 '개세지재(蓋世之才)'. 세상을 덮을 만큼 압도적인 재능을 지닌 사람에게 붙는 칭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개세지재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개세지재 뜻
'개세지재(蓋世之才)'는 '세상을 덮을 정도로 뛰어난 재능'을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 蓋(덮을 개)
- 世(세상 세)
- 之(~의 지)
- 才(재능 재)
개세지재는 직역하면 ‘세상을 덮는 재능’, 의역하면 '시대를 초월하거나 압도할 정도로 뛰어난 인물'을 말합니다. 이 사자성어는 단순히 똑똑하거나 재능이 있는 정도를 넘어, 한 시대를 대표하거나 바꿀 만큼의 능력, 영향력, 창조성을 지닌 사람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현대적으로 개세지재는 천재, 비범한 인재, 시대의 인물, 혁신가 등과 유사한 의미로 쓰입니다.
유래
개세지재는 고대 중국의 문헌, 특히, 사기(史記)나 한서(漢書) 같은 역사 기록에서 천재적 능력을 가진 인물을 칭송하는 표현으로 사용됐습니다.
주로 항우, 유방, 제갈량, 장량, 조조, 손권 등 역사적 인물들의 평가에 자주 등장하며, '이 사람은 개세지재다'라는 말은 한 국가나 민족을 바꿀 수 있는 영웅급 인물을 뜻했습니다.
개세지재는 이후 동양권 전반에서 위대한 지도자, 혁신가, 창조적 예술가, 천재 학자 등을 설명할 때 폭넓게 사용되었으며, 이름 없는 평범한 사람에게는 함부로 쓰지 않는, 극찬의 표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예문
개세지재는 거의 '영웅급 찬사'에 가까운 말입니다. 지성과 창의성, 용기, 리더십을 모두 갖춘 인물에게 쓰이며, 학문, 예술, 정치,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대를 선도한 인물들을 평가할 때 사용됩니다.
- 그는 한 세대에 하나 나올까 말까 한 개세지재였다.
- AI 시대를 연 일론 머스크를 보면, 정말 개세지재라는 표현이 딱 어울린다.
- 백범 김구는 지략과 인품을 모두 갖춘 개세지재의 표본이었다.
개세지재 반대말
개세지재의 반대 개념은 당연히 보통의 능력을 가진 사람 혹은 비판적으로 '능력이 부족한 사람'을 가리키는 사자성어가 됩니다.
- 범재중인(凡才衆人) – 평범한 재주를 가진 일반 사람
- 우이독경(牛耳讀經) – 아무리 훌륭한 것을 보여줘도 깨닫지 못하는 둔한 사람
- 무재무능(無才無能) – 재능도 없고 능력도 없는 상태
- 장삼이사(張三李四) – 이름 없는 평범한 사람
- 중인막출(衆人莫出) – 수많은 사람 중 특별히 뛰어나지 않음
이러한 표현은 개세지재와 극단적으로 대비되며, 천재와 평범함의 경계를 설명할 때 함께 쓰이기도 합니다.
개세지재 유의어
개세지재와 유사한 뜻을 가진 사자성어도 존재합니다. 이들은 모두 탁월한 능력, 시대를 이끄는 인재, 천재성을 강조하는 말입니다.
- 인중지룡(人中之龍) – 사람들 중에서 용 같은 뛰어난 인물
- 걸세지재(傑世之才) – 세상에 드물게 나타나는 재능
- 기재절륜(奇才絶倫) – 보통 사람을 능가하는 뛰어난 재능
- 천부당재(天賦當才) – 하늘이 내려준 재능
- 영웅호걸(英雄豪傑) – 탁월한 재능과 용기를 지닌 인물
이러한 표현들은 개세지재와 함께 인물평, 업적 소개, 자서전, 역사적 인물의 묘사 등에서 자주 쓰입니다.
끝맺음
개세지재에는 세상을 바꾸고, 흐름을 주도하며,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는 힘이 담겨 있습니다. 그리고 그 재능은 반드시 타고난 것만은 아닙니다. 끊임없는 노력과 성찰, 그리고 시대를 보는 통찰력에서 비롯될 수도 있습니다.
지금의 당신은 평범해 보일 수 있지만, 그 안에 개세지재가 깃들어 있을지 모릅니다.
👇 관련 글 모음
개관사정(蓋棺事定)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기복례(克己復禮)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1 |
---|---|
객반위주(客反爲主)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1 |
개선광정(改善匡正)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19 |
개관사정(蓋棺事定)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19 |
개과천선(改過遷善)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