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고 장황한 설명, 도입부가 너무 긴 이야기, 결론 없는 대화. 이런 경험, 한 번쯤 해보셨을 겁니다. 핵심만 딱 말해주면 좋을 텐데, 도입부터 복잡하고 맥락 설명에만 한참. 이럴 때 흔히 쓰는 말이 있습니다. 바로 "거두절미하고 말할게."
이 표현은 단순한 습관어가 아니라, 고전 사자성어 '거두절미(去頭截尾)'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이제는 대화뿐만 아니라 문서작성, 회의, 콘텐츠 기획 등 현대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태도로도 적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거두절미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거두절미 뜻
'거두절미(去頭截尾)'는 '머리를 버리고, 꼬리를 자른다'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 去(갈 거)
- 頭(머리 두)
- 截(끊을 절)
- 尾(꼬리 미)
거두절미는 직역하면 '앞부분과 뒷부분을 생략한다', 의역하면 '이야기나 글의 핵심만 간단히 말한다'는 의미입니다.
거두절미하다는 표현은 오늘날 일상적으로도 많이 쓰이며, 복잡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론만 이야기하겠다는 의사 표현으로 활용됩니다. 특히, 시간이 부족하거나, 결론부터 말해야 할 상황에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식입니다.
유래
거두절미는 특정 고사에서 비롯되기보다는 한자어 자체가 상징하는 의미로 고전 언어 습관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된 표현입니다.
중국과 한국의 옛 문헌에서는 '말은 간결해야 진실이 잘 전달된다', '군자는 필요 없는 말을 줄인다'는 가치가 중요하게 여겨졌습니다.
공자 역시 논어에서 "다언삭궁(多言數窮)"이라 하여, 말이 많으면 궁색해진다고 경계했습니다. 이러한 사고방식이 ‘거두절미’라는 사자성어로 정리된 것입니다.
예문
거두절미는 회의, 프레젠테이션, 이메일 작성, 마케팅 콘텐츠 등 핵심 전달력이 중요한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는 사자성어입니다.
특히, 디지털 시대처럼 정보가 빠르게 소비되는 환경에서는 장황한 설명보다 거두절미한 정보 제공이 더 높은 효율을 보여줍니다.
- 거두절미 하고 말할게. 나 오늘 못 갈 것 같아.
- 서론은 생략하고, 거두절미 해서 바로 회의 안건부터 들어가죠.
- 그는 거두절미 한 답변을 원했다. 불필요한 설명은 오히려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거두절미 반대말
거두절미의 반대말은 핵심을 흐리거나, 불필요한 설명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를 뜻하는 표현입니다. 직접적인 반대 사자성어는 없지만, 다음과 같은 표현이 대조적입니다.
- 장황무비(長荒無備) – 말이 길고 요점이 없음
- 다변무용(多辯無用) – 말을 많이 하지만 쓸모는 없음
- 반복누설(反覆漏說) – 같은 내용을 되풀이하거나 핵심을 놓침
- 화려허장(華麗虛張) – 겉만 화려하고 실속 없음
- 복잡다단(複雜多端) – 복잡하고 핵심이 분산됨
이러한 표현은 의사소통이나 문서, 회의 등에서 메시지 전달력이 떨어질 때 자주 사용됩니다.
거두절미 유의어
거두절미와 유사한 의미를 가진 사자성어 및 표현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들은 모두 간결함, 핵심 전달, 본질 파악과 관련된 가치를 내포합니다.
- 일목요연(一目瞭然) – 한눈에 명확히 드러남
- 불요불급(不要不急) – 필요하지도 급하지도 않은 것 → 줄여야 할 대상
- 화두직하(話頭直下) – 말문을 열자마자 핵심으로 직진하는 말하기 방식
이처럼 거두절미는 정보 과잉 시대에 더 빛나는 표현이자,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의 필수 요소입니다.
끝맺음
거두절미 안에는 상대에 대한 배려, 시간에 대한 존중, 그리고 논리적 전달력에 대한 고민이 담겨 있습니다. 말은 길다고 좋은 것이 아닙니다. 전하고자 하는 본질을 정확히, 간결하게 말하는 사람이 진짜 능력자입니다.
다음부터 말이나 글을 시작할 땐, 이 네 글자를 한 번 떠올려 보세요. 거두절미. 불필요한 머리와 꼬리는 줄이고, 핵심만 남기세요.
👇 관련 글 모음
객반위주(客反爲主)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안제미(擧案齊眉)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2 |
---|---|
거안사위(居安思危)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2 |
극기복례(克己復禮)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1 |
객반위주(客反爲主)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1 |
개세지재(蓋世之才)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