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예측할 수 없고, 위기는 언제든 닥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금이 평온하다고 느끼면, 경계를 늦추고 준비를 게을리하게 되죠. 그럴수록 더 큰 위기가 찾아옵니다.
이럴 때 마음에 새겨야 할 사자성어가 바로 '거안사위(居安思危)'입니다. 위기를 알고 준비하는 자만이, 진짜 평화를 오래 누릴 수 있습니다.
오늘은 거안사위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거안사위 뜻
'거안사위(居安思危)'는 '편안한 처지에 있을 때, 앞으로 닥칠 위험을 생각하라'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 居(살 거)
- 安(편안할 안)
- 思(생각할 사)
- 危(위태할 위)
즉, 거안사위는 지금 평안한 상황일수록 더 긴장을 늦추지 말고, 앞으로 닥칠지도 모를 위기를 미리 대비하라는 뜻입니다.
거안사위는 개인, 조직, 국가의 위기관리 철학을 압축해주는 말로, 오늘날 경영 전략, 자기계발, 안보 정책, 기업 리스크 관리 등에서 매우 자주 인용됩니다.
유래
거안사위는 고대 중국 문헌 서경(書經) 무성편(武成篇)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 이 문헌은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를 멸망시키고 난 후, 승리에 도취하지 않고 장군들에게 이렇게 당부한 구절에서 비롯됐습니다.
“居安思危, 戒奢以儉.”
(편안할 때일수록 위태로움을 생각하고, 사치를 경계하며 검소하라.)
당시 주 무왕은 큰 전쟁에서 이겼지만, 평화가 곧 안일함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걸 경계했던 것입니다. 이는 훗날 유가 사상의 핵심 윤리 중 하나가 되었고, 지도자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의 삶에 적용되는 삶의 철학으로 확장되었습니다.
예문
거안사위는 단순한 경계심을 넘어, 미래를 위한 '전략적 사고'와 '위기관리 의식'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가정에서도, 기업에서도, 나 자신을 위해서도 '지금이 편안하니 괜찮다'는 생각은 가장 위험한 사고일 수 있습니다.
- 경제가 호황일 때일수록 거안사위의 자세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
- 그는 회사가 잘 나갈 때도 거안사위 하며 비상자금을 따로 모아뒀다.
- 지금은 평화롭지만, 우리는 늘 거안사위의 마음으로 안전을 지켜야 한다.
거안사위 반대말
거안사위(居安思危)는 "편안할 때일수록 위기를 대비하라"는 뜻이므로, 반대 개념은 위기의식 없이 안일하게 구는 태도입니다. 다음 사자성어들이 반대 의미에 해당합니다.
- 태평무사(太平無事) – 아무런 걱정 없이 평온한 상태를 즐김
- 안빈낙도(安貧樂道) – 가난 속에서도 도를 즐기며 안일하게 삶
- 무사안일(無事安逸) – 일이 없으니 그냥 안일하게 지냄
- 방심대처(放心大處) – 마음 놓고 경계하지 않음
- 위기불각(危機不覺) – 위험을 눈치채지 못함
이 사자성어들은 현실의 불안을 외면하거나 준비 없이 안정을 추구하는 태도를 상징합니다.
거안사위 유의어
거안사위와 비슷한 의미로, 위기관리, 준비, 경계심, 예측 대응 등을 강조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우환미래(憂患未來) – 닥치지 않은 미래의 걱정을 미리 함
- 유비무환(有備無患) – 준비가 되어 있으면 근심이 없다
- 방비미연(防備未然) – 일이 생기기 전에 미리 대비함
- 선공후사(先公後私) – 사사로움보다 공적인 준비와 책임을 먼저 함
- 선견지명(先見之明) – 미래를 미리 내다보는 통찰력
이 사자성어들은 모두 '지금이 평안하더라도 대비하는 것이 진짜 지혜다'라는 거안사위의 메시지와 연결됩니다.
끝맺음
지금은 괜찮다고 해서 언제까지나 괜찮은 것은 아닙니다. 평온할 때일수록 마음의 끈을 놓지 않고, 조용할 때일수록 미래를 준비해야 하죠.
거안사위는 단지 조심성이 많은 사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진짜로 똑똑하고 책임감 있는 사람이 지녀야 할 기본 태도입니다. 지금의 안정을 지키기 위해, 오늘부터 한 걸음 더 준비해보는 건 어떨까요?
👇 관련 글 모음
극기복례(克己復禮)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자필반(去者必返)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2 |
---|---|
거안제미(擧案齊眉)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2 |
거두절미(去頭截尾)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1 |
극기복례(克己復禮)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1 |
객반위주(客反爲主)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