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과이불개(過而不改)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누구나 실수할 수 있지만, 반복하면 그것은 선택이다." 이 말처럼, 실수나 잘못을 저지른 뒤 그것을 고치느냐 외면하느냐
그 사람의 태도와 인격을 결정짓는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오늘 소개할 사자성어 '과이불개(過而不改)'는 바로 잘못을 하고도 고치지 않는 태도를 강하게 경계하는 말입니다.

 

썸네일

 

과이불개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를 지금 알아보려고 합니다.

 

과이불개 뜻

'과이불개(過而不改)'는 '잘못을 저지르고도 고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 過(허물 과): 실수, 잘못
  • 而(말 이을 이): ~하고도
  • 不(아닐 불): 아니다
  • 改(고칠 개): 고치다

즉, 과이불개는 자신의 잘못을 인지하고도 태도를 바꾸지 않는 사람의 모습을 비판하는 표현입니다. 과이불개는 개인의 태도뿐 아니라 조직 문화나 사회 전반의 개혁 필요성을 논할 때도 자주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공직자의 무책임한 반복 실수, 기업의 부실 대응, 인간관계의 불성실한 태도를 설명할 때 적합합니다.

 

유래

과이불개는 『논어(論語)』에서 공자의 말을 통해 전해집니다. 공자는 “과이불개 시위과의(過而不改 是謂過矣)”라며 "잘못을 저질러 놓고도 고치지 않는 것, 그것이 진짜 잘못이다"라고 말했습니다.

공자의 이 말은, 실수 자체보다 더 나쁜 것은 그 실수를 되풀이하거나 외면하는 자세라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이는 자기성찰과 반성, 그리고 개선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유교 사상의 핵심 중 하나입니다.

 

예문

  • 그는 수차례 실수를 지적받았지만 과이불개의 태도를 고수했다.
  • 경영진의 과이불개가 결국 기업 이미지에 큰 타격을 주고 말았다.
  • 공부 방법이 잘못된 걸 알면서도 계속 반복한다면, 그건 과이불개입니다.
  • 과이불개는 개인의 성장뿐 아니라 조직 발전에도 치명적입니다.
  • 실패는 괜찮지만, 과이불개는 용납할 수 없어요.

이처럼 과이불개는 ‘태도’에 대한 사자성어로서, 성찰 없이 고집하는 모습을 질책하거나, 변화의 필요성을 역설할 때 쓰입니다.

 

한자한자

 

과이불개 반대말

과이불개와 반대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은 표현들이 있습니다.

  • 개과천선(改過遷善) – 지난 잘못을 고쳐 착하게 변하다
  • 불치하문(不恥下問) –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다
  • 문과즉개(聞過則改) – 잘못을 들으면 곧바로 고친다
  • 지과필개(知過必改) – 잘못을 알면 반드시 고친다

이러한 표현은 자기반성과 개선의지를 드러내는 건강한 태도를 강조하며, 과이불개의 부정적 의미와 상반됩니다.

 

과이불개 유의어

과이불개와 유사한 부정적 성향의 사자성어로는 다음이 있습니다.

  • 자고자대(自高自大) – 스스로 잘난 체하며 남의 말을 듣지 않음
  • 완고불통(頑固不通) – 고집이 세고 융통성이 없음
  • 교언영색(巧言令色) – 겉으로는 번지르르하나 속은 바르지 않음
  • 면종복배(面從腹背) – 겉으로는 복종하나 속으론 반항함
  • 용두사미(龍頭蛇尾) – 시작은 거창하지만 끝이 흐지부지됨

이 사자성어들 모두 겸손하지 못하고, 자기반성 없는 태도를 경계할 때 유용하게 쓰입니다.

 

끝맺음

누구나 실수는 합니다. 하지만, 실수를 고치지 않으면 그건 습관이 되고, 성격이 됩니다. 과이불개는 자기반성 없이 자기 합리화만을 반복하는 태도를 질책합니다.

"잘못을 저지른 것보다 고치지 않는 것이 진짜 문제다." – 『논어』 우리는 과이불개의 경계를 넘지 않기 위해, 하루하루 자신을 돌아보는 성찰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