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구밀복검(口蜜腹劍)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사람들은 누구나 겉으로는 친절하고 부드럽게 대하려 합니다. 하지만, 겉과 속이 다르면, 말의 달콤함 뒤에 숨겨진 의도를 간파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가장 정확히 표현하는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바로 '구밀복검(口蜜腹劍)'입니다.

 

썸네일

 

이 글에서는 구밀복검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를 자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구밀복검 뜻

'구밀복검(口蜜腹劍)'은 '입에는 꿀이 있고, 배 속에는 칼이 있다'는 뜻입니다.

  • 口(입 구): 입
  • 蜜(꿀 밀): 달콤함
  • 腹(배 복): 배
  • 劍(칼 검): 칼

즉, 구밀복검은 겉으로는 친절하고 부드럽게 말하지만, 속으로는 해치려는 악한 마음을 품고 있는 상황을 비유합니다.

구밀복검은 현대적 표현으로 바꾸자면, "겉으로는 웃지만 속으로는 칼을 간다"는 뜻과 비슷합니다. 구밀복검은 사람을 평가할 때 단순히 겉모습이나 말만으로는 그 진심을 판단할 수 없음을 경고하는 말이기도 합니다.

 

유래

구밀복검은 중국 당나라 시대 정치 상황에서 유래된 사자성어입니다. 당 현종 시기 환관(宦官)과 간신들이 겉으로는 황제와 고관들에게 달콤한 말로 아첨했지만, 실제로는 음모를 꾸미고 권력을 차지하려 했습니다.

특히, 환관 중 유명했던 인물들이 이중적인 태도로 사람들을 속이고 권력을 확대하는 모습을 지켜본 신하들이 "입에는 꿀이요, 배 속에는 칼이구나"라며 탄식한 데서 구밀복검이 유래되었습니다.

이후 이 표현은 겉 다르고 속 다른 사람이나 조직을 비판할 때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습니다.

 

예문

구밀복검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회의 때는 웃으면서 내 아이디어를 칭찬하더니, 뒤에서는 내 안건을 반대한대. 완전 구밀복검이야.
  • 언제나 웃으며 인사하던 그 사람이 사실은 내 자리를 노리고 있었다니. 이게 바로 구밀복검이지.
  • 달콤한 말을 믿었다가 계약을 맺었는데, 나중에 엄청난 손해를 봤다. 전형적인 구밀복검 사례였다.
  • 상사는 친절하게 조언해 주는 척했지만, 결국 내 실패를 기다리고 있었어. 정말 구밀복검 같다.
  • 정치판은 겉으론 협력해도, 뒤로는 서로 칼을 겨누는 구밀복검의 세계다.

한자한자

 

구밀복검 반대말

구밀복검의 반대 개념은 겉과 속이 일치하여 진심으로 대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반대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표리일체(表裏一體) – 겉과 속이 하나로 일치함
  • 성심성의(誠心誠意) – 진심과 성의를 다함
  • 진심진의(眞心眞意) – 거짓 없는 참된 마음
  • 언행일치(言行一致) – 말과 행동이 같음

구밀복검이 이중성과 위선을 경계한다면, 표리일체언행일치진정성과 신뢰를 강조합니다.

 

구밀복검 유의어

구밀복검과 뜻이 통하는 유의어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권상요목(勸上搖木) – 겉으로는 부추기지만 속으로는 흔들어 무너뜨림
  • 면종복배(面從腹背) – 겉으로는 복종하는 척하지만 속으로는 배반함
  • 소리장도(笑裏藏刀) – 웃음 속에 칼을 숨김

이 사자성어들 모두 겉모습과 본심이 다른, 이중적인 행동을 비판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소리장도웃으면서 해를 끼치는 사람을 가리킬 때 구밀복검과 함께 자주 사용됩니다.

 

끝맺음

구밀복검은 달콤한 말에 속지 말고, 사람의 진심을 꿰뚫어 볼 수 있어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가장 부드러운 말 뒤에 숨겨진 칼날을 경계하라.", "진심은 겉모습이 아닌, 행동과 시간이 증명한다."

진정한 관계는 겉과 속이 다르지 않습니다. 구밀복검 같은 사람을 알아차리고, 성심성의로 대하는 사람과 함께하는 것이 우리가 더 평화롭고 안전한 관계를 맺는 방법입니다.

 


👇 관련 글 모음
교학상장(敎學相長) ⭐

구미속초(狗尾續貂)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