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구여현하(口如懸河)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구여현하(口如懸河)는 입이 매달린 강물처럼 말을 쏟아낸다는 뜻으로, 말을 매우 유창하고 막힘없이 잘하는 사람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구여현하


오늘은 구여현하(口如懸河)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여현하 뜻

  • 口(입 구): 입
  • 如(같을 여): ~와 같다
  • 懸(매달 현): 매달다
  • 河(강 하): 강

'구여현하(口如懸河)'는 입에서 강물이 쏟아지듯이 말을 잘한다는 의미로, 말재주가 뛰어나고 유창하게 말하는 사람을 비유하는 표현입니다.

 

유래

구여현하(口如懸河)는 중국 고전 『진서(晋書)』의 '유곤전(劉琨傳)'에서 유래합니다.
유곤은 말을 잘하기로 유명하여, 사람들이 그의 말을 듣고 감탄하며 "그의 입은 마치 매달린 강물과 같다(口如懸河)"고 표현하였습니다. 이후 이 표현은 말을 유창하게 잘하는 사람을 비유하는 사자성어로 사용되었습니다.

 

예문

구여현하(口如懸河)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토론회에서 구여현하의 화술로 청중을 사로잡았다.
  • 변호사의 구여현하 같은 변론에 판사도 고개를 끄덕였다.
  • 연설자의 구여현하에 모두가 숨을 죽이고 경청했다.

이처럼 구여현하말을 유창하게 잘하는 사람을 칭찬하거나 비유할 때 사용됩니다.

 

구여현하구여현하구여현하

 

구여현하 반대말

  • 함구무언(緘口無言): 입을 다물고 말이 없음

함구무언입을 다물고 아무 말도 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말을 유창하게 잘하는 구여현하와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구여현하 유의어

  • 청산유수(靑山流水): 말이 막힘없이 잘 이어짐

청산유수말을 유창하게 잘하는 사람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구여현하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끝맺음

구여현하(口如懸河)는 말을 유창하게 잘하는 사람을 비유하는 사자성어로, 화술이 뛰어난 사람을 칭찬하거나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설득력 있는 말솜씨는 중요한 능력으로 여겨지므로, 구여현하와 같은 표현을 통해 말의 중요성을 다시금 되새길 수 있습니다.

 


👇 관련 글 모음
한단지몽(邯鄲之夢) ⭐

수지타산(收支打算)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