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지타산(收支打算)은 수입과 지출을 계산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나 사업의 이익과 손해, 즉 경제적 타당성을 따져보는 행동이나 관점을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오늘은 수지타산(收支打算)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지타산 뜻
- 收(거둘 수): 수입, 수익
- 支(지출 지): 지출, 비용
- 打(칠 타): 따지다, 계산하다
- 算(셈 산): 셈하다, 계산하다
'수지타산(收支打算)'은 수입과 지출을 따져 계산함, 즉 경제적으로 손익이 맞는지를 판단한다는 의미입니다. 수지타산은 단순한 회계의 개념을 넘어, 모든 일에서 실속과 이득을 중시하는 사고방식으로 확장됩니다.
유래
수지타산은 한자어이지만 사자성어보다는 관용어에 가까운 실용적 용어입니다.
수지타산은 고전 문헌보다는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경제 활동에 관한 실용서나 상업 활동 관련 기록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한 표현으로, 현대에도 가계·기업·정부 등 모든 경제 주체의 핵심 판단 기준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예문
수지타산(收支打算)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소자본 창업이긴 하지만 수지타산이 맞지 않으면 시작할 수 없다.
- 이번 리모델링은 감성보다 수지타산에 따라 계획되었다.
- 현실적인 경영에서는 감정보다 수지타산이 우선될 수밖에 없다.
이처럼 수지타산은 실제 손익 여부를 고려해 결정하거나 판단하는 실용적 태도를 의미합니다.
수지타산 비슷한 말
- 견강부회(牽强附會): 이치에 맞지 않는 말을 억지로 끌어다 붙여 자기 주장을 정당화함
- 아전인수(我田引水): 자기 논에만 물을 끌어온다는 뜻으로, 자신의 이익만 생각함
견강부회는 손익 계산을 억지로 맞추려 하거나, 논리적이지 않은 해석을 정당화할 때 유사하게 사용됩니다.
아전인수는 수지를 따질 때도 공익보다 사익을 앞세우는 태도를 비판할 때 수지타산과 함께 사용 가능합니다.
끝맺음
수지타산(收支打算)은 오늘날 현실적인 선택과 판단의 기준이 되는 가장 기본적인 개념입니다.
경제적 효율성과 실익을 따지는 태도는 때론 냉정해 보일 수 있지만, 개인·가계·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필수적인 판단 도구입니다. 단순한 금전계산을 넘어, 삶과 경영의 전략을 설계하는 핵심 요소로 수지타산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 관련 글 모음
타산지석(他山之石)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절양장(九折羊腸)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0 |
---|---|
구여현하(口如懸河)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0 |
한단지몽(邯鄲之夢)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0 |
타산지석(他山之石)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0 |
출필곡반필면(出必告反必面)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0)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