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국수주의(國粹主義)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국수주의(國粹主義)는 자국의 문화나 전통, 민족적 요소를 가장 우수한 것으로 여기고, 외국의 문화나 가치를 배척하거나 배타적으로 거부하는 사고방식을 말하는 정치·사회 용어입니다.

 

국수주의


오늘은 국수주의(國粹主義)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수주의 뜻

  • 國(나라 국): 국가, 민족
  • 粹(순수할 수): 순수함, 정수
  • 主(주인 주): 중심, 주장
  • 義(뜻 의): 사상, 주의

'국수주의(國粹主義)'는 자국의 전통과 문화를 순수하고 최고로 여기며, 외국의 문물과 사상을 배격하거나 경시하는 태도를 말합니다. 국수주의는 일반적으로 민족적 자부심을 넘어 배타적 성향으로 확장될 때 문제점이 지적되곤 합니다.

 

유래

국수주의(國粹主義)는 19세기 말 청나라 말기 중국에서 서양 문물이 급속히 유입되던 시기, 전통 유교 중심 학자들 사이에서 자국 문화의 순수성과 우수성을 지키려는 흐름으로 등장한 용어입니다.
이후 일본 메이지 시대, 유럽의 파시즘 및 나치즘 등에서도 자국 중심주의가 극단화된 형태로 전개되며 정치적 국수주의로 확장되었습니다.

 

예문

국수주의(國粹主義)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나친 국수주의는 국제 협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 일부 매체의 보도는 국수주의를 조장하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 민족문화의 자긍심은 중요하지만, 국수주의와는 분명히 구분되어야 한다.

이처럼 국수주의민족 중심 사고가 외부에 대한 배척이나 우월감으로 확대될 때 경계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수주의국수주의국수주의

 

국수주의 반대말

  • 국제주의(國際主義): 국가 간 협력과 상호존중을 강조하는 태도

국제주의 역시 국가 간 협력을 우선시하는 사상으로, 자국 우선의 배척적 태도를 가진 국수주의와 대립되는 입장입니다.

 

국수주의 유의어

  • 자민족중심주의(自民族中心主義): 자기 민족만이 우월하다는 믿음

자민족중심주의국수주의와 같이 자기 집단 또는 민족에 대한 과도한 우월감 또는 배타적 사고를 반영하는 표현입니다. 상황에 따라 인종주의나 극단적 민족주의와도 연결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끝맺음

국수주의(國粹主義)는 자국의 전통과 문화를 긍지 있게 지키려는 태도에서 출발하지만, 그것이 타문화 배척이나 외부와의 단절로 이어질 경우, 협력과 공존을 해치는 배타적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현대 사회는 국가 간 경계가 흐려지는 글로벌 시대인 만큼, 건강한 자부심과 열린 태도를 함께 가져가는 것이 중요한 과제입니다.

 

 

👇 관련 글 모음
구중심처(九重深處) ⭐

구천직하(九天直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