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수주의(國粹主義)는 자국의 문화나 전통, 민족적 요소를 가장 우수한 것으로 여기고, 외국의 문화나 가치를 배척하거나 배타적으로 거부하는 사고방식을 말하는 정치·사회 용어입니다.
오늘은 국수주의(國粹主義)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수주의 뜻
- 國(나라 국): 국가, 민족
- 粹(순수할 수): 순수함, 정수
- 主(주인 주): 중심, 주장
- 義(뜻 의): 사상, 주의
'국수주의(國粹主義)'는 자국의 전통과 문화를 순수하고 최고로 여기며, 외국의 문물과 사상을 배격하거나 경시하는 태도를 말합니다. 국수주의는 일반적으로 민족적 자부심을 넘어 배타적 성향으로 확장될 때 문제점이 지적되곤 합니다.
유래
국수주의(國粹主義)는 19세기 말 청나라 말기 중국에서 서양 문물이 급속히 유입되던 시기, 전통 유교 중심 학자들 사이에서 자국 문화의 순수성과 우수성을 지키려는 흐름으로 등장한 용어입니다.
이후 일본 메이지 시대, 유럽의 파시즘 및 나치즘 등에서도 자국 중심주의가 극단화된 형태로 전개되며 정치적 국수주의로 확장되었습니다.
예문
국수주의(國粹主義)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나친 국수주의는 국제 협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 일부 매체의 보도는 국수주의를 조장하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 민족문화의 자긍심은 중요하지만, 국수주의와는 분명히 구분되어야 한다.
이처럼 국수주의는 민족 중심 사고가 외부에 대한 배척이나 우월감으로 확대될 때 경계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수주의 반대말
- 국제주의(國際主義): 국가 간 협력과 상호존중을 강조하는 태도
국제주의 역시 국가 간 협력을 우선시하는 사상으로, 자국 우선의 배척적 태도를 가진 국수주의와 대립되는 입장입니다.
국수주의 유의어
- 자민족중심주의(自民族中心主義): 자기 민족만이 우월하다는 믿음
자민족중심주의는 국수주의와 같이 자기 집단 또는 민족에 대한 과도한 우월감 또는 배타적 사고를 반영하는 표현입니다. 상황에 따라 인종주의나 극단적 민족주의와도 연결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끝맺음
국수주의(國粹主義)는 자국의 전통과 문화를 긍지 있게 지키려는 태도에서 출발하지만, 그것이 타문화 배척이나 외부와의 단절로 이어질 경우, 협력과 공존을 해치는 배타적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현대 사회는 국가 간 경계가 흐려지는 글로벌 시대인 만큼, 건강한 자부심과 열린 태도를 함께 가져가는 것이 중요한 과제입니다.
👇 관련 글 모음
구중심처(九重深處)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불십년(權不十年)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0) | 2025.05.21 |
---|---|
군자삼락(君子三樂)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0) | 2025.05.21 |
구천직하(九天直下)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0) | 2025.05.21 |
구중심처(九重深處)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구중궁궐(九重宮闕)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0)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