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상첨화(錦上添花)'는 좋은 일이 겹쳐서 더욱 좋게 됨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금상첨화(錦上添花)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금상첨화 뜻
'금상첨화(錦上添花)'는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 즉 좋은 일이나 상태에 또 다른 좋은 일이 더해져 더욱 훌륭해진다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 錦(비단 금): 고운 비단
- 上(위 상): 위에
- 添(더할 첨): 보태다
- 花(꽃 화): 꽃
금상첨화는 이미 훌륭한 상태에서 더욱 뛰어난 요소가 추가되는 경우, 또는 잘되고 있는 일에 더 좋은 결과가 더해질 때 쓰입니다.
유래
금상첨화는 중국 당나라 시기, 문인들이 시문(詩文)의 격을 표현할 때 사용하던 비유적 표현으로 전해지며, 『당서(唐書)』나 『문심조룡(文心雕龍)』 등에서도 유사한 표현이 등장합니다.
특히, 금상첨화는 시문이나 그림에 있어 이미 아름다운 비단에 다시 꽃을 수놓는 것처럼 격조를 더한다는 의미에서 쓰였고, 점차 일상 속에서도 기쁜 일에 또 다른 경사가 더해질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예문
금상첨화는 상황이 매우 좋은 상태에서 또 다른 좋은 일이 더해졌을 때 사용됩니다.
- 승진한 날에 아이가 태어나다니, 정말 금상첨화다.
→ 기쁜 일에 또 다른 경사가 더해진 경우 - 이미 훌륭한 발표였는데, 청중의 박수까지 더해져 금상첨화가 되었다.
→ 잘된 일에 더 좋은 반응이 뒤따른 상황 - 그는 인기도 많은데 인성까지 훌륭하니 금상첨화라는 말이 절로 나온다.
→ 장점이 겹쳐 더욱 돋보이는 사람에 대한 묘사
금상첨화 반대말
금상첨화의 반대 의미를 가진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설상가상(雪上加霜): 눈 위에 서리가 덮임, 나쁜 일에 또 다른 악재가 겹침
→ 좋은 일이 겹치는 금상첨화와는 정반대의 의미 - 화중지병(畫中之餠): 그림 속의 떡, 실현 불가능한 기대
→ 좋은 것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의미 없는 상태 - 득어망전(得魚忘筌): 물고기를 얻고 통발을 잊음
→ 좋은 결과 뒤에 본질이나 도움을 잊는 상황
이러한 반대말들은 나쁜 상황의 연속이나, 기대와는 다른 실망감을 표현합니다.
금상첨화 유의어
금상첨화와 비슷한 의미의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쌍홍병용(雙鴻竝用): 두 마리의 기러기가 함께 날아감, 두 가지 장점이 동시에 발휘됨
→ 좋은 일이나 사람 두 가지가 동시에 드러남 - 일석이조(一石二鳥): 돌 하나로 새 두 마리를 잡는다
→ 하나의 행동으로 두 가지 좋은 결과를 얻음 - 유수전장(流水轉漿): 흐르는 물 위에 술을 따르는 듯 자연스럽고 완벽한 조화
→ 더할 나위 없는 아름다움을 뜻함
이 유의어들은 모두 좋은 상황에 또 다른 긍정 요소가 더해진 상태를 나타냅니다.
끝맺음
'금상첨화(錦上添花)'는 단순한 성공을 넘어, 성공에 성공이 겹쳐질 때, 아름다움 위에 아름다움이 더해질 때 사용하는 극찬의 표현입니다.
누구나 인생에서 금상첨화 같은 순간을 꿈꾸지만, 그런 순간은 준비된 자에게 찾아옵니다. 당신의 삶에도 비단 위에 꽃이 피듯, 기쁜 일이 겹쳐지기를 응원합니다.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신유의(君臣有義)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4 |
---|---|
군웅할거(群雄割據)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4 |
금지옥엽(金枝玉葉)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4 |
금의환향(錦衣還鄕)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4 |
근묵자흑(近墨者黑)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