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인지우(杞人之憂)는 기나라 사람이 하늘이 무너질까 걱정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사자성어로, 쓸데없는 걱정이나 기우를 의미합니다.
오늘은 기인지우(杞人之憂)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인지우 뜻
- 杞(기 기): 기나라
- 人(사람 인): 사람
- 之(갈 지): ~의
- 憂(근심 우): 걱정, 근심
'기인지우(杞人之憂)'는 기나라 사람의 걱정이라는 뜻으로, 쓸데없는 걱정이나 기우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유래
기인지우(杞人之憂)는 중국 고전 『열자(列子)』의 「천서편(天瑞篇)」에서 유래합니다.
기나라에 한 사람이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질까 걱정하여 밤에 잠도 못 자고 음식도 제대로 먹지 못했습니다. 이를 본 친구가 그에게 말했습니다.
"하늘은 기운이 쌓인 것이니 무너질 염려가 없고, 땅은 단단하니 꺼질 걱정이 없다."
그러자, 그는 비로소 안심했다고 합니다. 이 고사는 쓸데없는 걱정이나 기우를 의미하는 사자성어로 전해졌습니다.
예문
기인지우(杞人之憂)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에 대해 기인지우를 하며 밤새 고민했다.
- 미래에 대한 기인지우로 현재를 즐기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 그녀는 항상 기인지우에 빠져 사소한 일에도 불안해했다.
이처럼 기인지우는 쓸데없는 걱정이나 기우를 의미하는 사자성어로 사용됩니다.
기인지우 반대말
- 태연자약(泰然自若): 마음에 아무런 걱정이 없이 침착함
- 안분지족(安分知足): 분수를 지키며 만족할 줄 앎
태연자약은 마음에 아무런 걱정이 없이 침착한 상태를 의미하며, 쓸데없는 걱정이나 기우를 의미하는 기인지우와는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안분지족은 자신의 분수를 지키며 만족할 줄 아는 태도를 의미하며, 기우에 빠지지 않고 현재에 만족하는 삶을 나타냅니다.
기인지우 유의어
- 기우(杞憂): 기나라 사람의 걱정
- 기인우천(杞人憂天): 기나라 사람이 하늘을 걱정함
- 오우천월(吳牛喘月): 더위를 먹은 소가 달을 보고도 더울까 걱정함
이들 유의어는 모두 쓸데없는 걱정이나 기우를 의미하는 사자성어로, 기인지우와 함께 사용됩니다.
끝맺음
기인지우(杞人之憂)는 쓸데없는 걱정이나 기우를 의미하는 사자성어로, 불필요한 걱정으로 인해 현재를 즐기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주는 표현입니다.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걱정보다는 현재에 집중하며 살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관련 글 모음
금슬상화(琴瑟相和)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신적자(亂臣賊子)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0) | 2025.05.21 |
---|---|
낙양지가(洛陽紙價)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0) | 2025.05.21 |
금실지락(琴瑟之樂)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금슬상화(琴瑟相和)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금석지약(金石之約)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