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신적자(亂臣賊子)는 나라를 어지럽히는 신하와 부모를 해치는 자식이라는 뜻으로, 국가나 가문에 해를 끼치는 반역자나 패륜아를 지칭하는 부정적인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난신적자(亂臣賊子)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난신적자 뜻
- 亂(어지러울 난): 질서를 어지럽히다
- 臣(신하 신): 임금을 섬기는 신하
- 賊(도둑 적): 해치는 자, 반역자
- 子(아들 자): 자식, 후손
'난신적자(亂臣賊子)'는 임금을 배신하고 나라를 혼란에 빠뜨리는 신하(亂臣)와 부모를 해치거나 효를 저버리는 자식(賊子)을 일컬어, 도덕과 정치 질서를 파괴하는 가장 극악한 사람들을 비유합니다.
유래
난신적자(亂臣賊子)는 『논어(論語) · 위정편(爲政篇)』에서 공자가 한 말에서 유래했습니다.
공자는 "나라가 잘 다스려지면 충신과 효자가 드러나고, 나라가 혼란하면 난신적자가 나타난다"고 하며, 사회의 혼란이 도덕적 타락과 권력 배반으로 이어진다는 경고의 의미로 이 말을 사용했습니다.
이후 난신적자는 충신·효자의 반대 의미로 자리 잡아 정치적 반역자나 패륜적인 사람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됩니다.
예문
난신적자(亂臣賊子)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역사를 돌이켜 보면 난신적자로 인해 나라가 멸망한 사례가 적지 않다.
-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 조직을 무너뜨리는 자는 곧 난신적자라 할 수 있다.
- 충절과 도덕이 무너지면 결국 난신적자가 나라를 망친다는 말이 실감난다.
이처럼 난신적자는 국가나 공동체를 내부에서부터 무너뜨리는 배반자·반역자를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
난신적자 비슷한 말
- 배은망덕(背恩忘德): 은혜를 저버리고 덕을 잊음
배은망덕은 도덕과 질서를 무너뜨리거나 충성심 없이 배반하는 자를 의미하는 사자성어로, 난신적자와 함께 정치적 타락, 도덕적 배신을 비판하는 문맥에서 사용됩니다.
끝맺음
난신적자(亂臣賊子)는 공적 질서와 가정의 도리를 동시에 파괴하는 가장 타락한 존재를 상징하는 사자성어입니다.
공자 시절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정의롭고 건강한 사회를 유지하기 위해선 난신적자의 등장을 경계하고, 충신과 효자의 정신을 되새기는 태도가 중요함을 난신적자는 경고합니다.
👇 관련 글 모음
기인지우(杞人之憂)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우외환(內憂外患)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
낭유도식(浪遊徒食)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낙양지가(洛陽紙價)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0) | 2025.05.21 |
기인지우(杞人之憂)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금실지락(琴瑟之樂)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