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불습유(路不拾遺)'는 길에 떨어진 물건을 줍지 않는다는 뜻으로, 풍속이 깨끗하고 도덕이 바로 선 사회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노불습유(路不拾遺)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노불습유 뜻
'노불습유(路不拾遺)'는 '길(路)에 떨어진 물건(遺)을 줍지(拾) 않는다(不)', 즉 도덕성이 높아 아무도 남의 물건을 탐내지 않는 깨끗한 사회 풍속을 의미합니다.
- 路(길 노): 길
- 不(아닐 불): 아니다, ~하지 않다
- 拾(주울 습): 줍다
- 遺(남길 유): 남의 물건, 잃은 물건
노불습유는 치안이 잘 잡혀 도둑이 없고, 사람들이 정직하며 타인의 물건을 탐하지 않는 이상적인 사회 상태를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
노불습유는 『예기(禮記)』나 『사기(史記)』, 『한서(漢書)』 등 고대 중국 역사서와 경전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며, 특히, 요순시대(堯舜時代)의 태평성대를 설명할 때 자주 인용되는 표현입니다. 예컨대 『사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이 등장합니다.
“길에 떨어진 물건을 줍지 않고, 문을 잠그지 않아도 도둑이 없었다.”
이는 국가가 안정되고 백성들이 도덕적으로 올바른 삶을 살던 시절의 상징적 표현으로, 이후 모범적인 사회 질서를 나타내는 사자성어로 정착했습니다.
예문
노불습유는 도덕적 수준이 높고 범죄가 적은 이상적인 사회 상태나 조직을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 조선 중기 성리학이 정착된 시기에는 일부 지역에서 노불습유의 풍속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 유교적 도덕 질서가 생활 속에 뿌리내린 시대를 설명 - 작은 시골 마을은 아직도 노불습유의 미덕이 살아 있다.
→ 치안이 잘 잡히고 사람들의 도덕성이 높은 지역 - 그 기업은 내부 윤리가 잘 정비되어 마치 노불습유와 같은 조직 문화를 자랑한다.
→ 청렴하고 정직한 조직 문화에 대한 찬사
노불습유 반대말
노불습유의 반대 의미를 가진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혼정신성(混旌紛旌): 깃발이 뒤섞이고 질서가 혼란스러움
→ 사회 질서가 무너진 상태 - 무법천지(無法天地): 법이 통하지 않는 혼란한 세상
→ 도둑과 범죄가 가득한 사회 - 인심이박(人心離薄): 사람의 마음이 삭막하고 이기적임
→ 도덕이 무너지고 신뢰가 없는 상태
이러한 반대말은 타인의 물건을 탐하거나, 법과 질서가 통하지 않는 부패한 사회를 의미합니다.
노불습유 유의어
노불습유와 유사한 의미를 지닌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태평성대(太平聖代):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하게 사는 시대
→ 도덕과 질서가 조화를 이루는 상태 - 이이제이(以夷制夷): 도덕적 질서를 무너뜨리는 방식과 대비됨
→ 반의어로 자주 언급 - 공명정대(公明正大): 공정하고 정당함
→ 도덕적이고 청렴한 사회의 상태
이 유의어들은 모두 사회가 도덕적이고 질서가 잘 잡힌 상태를 이상적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끝맺음
'노불습유(路不拾遺)'는 단순히 ‘도둑이 없는 사회’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그것은 사람들이 서로를 신뢰하고, 남의 것을 탐하지 않으며, 도덕과 질서가 생활 속에 녹아든 사회를 의미합니다.
이상적인 말일 수도 있지만, 우리가 추구해야 할 사회적 목표와 가치가 무엇인지 되새겨주는 사자성어입니다. 당신이 속한 공동체는 지금 노불습유의 정신을 품고 있나요?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란지위(累卵之危)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4 |
---|---|
녹양방초(綠楊芳草)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4 |
노변정담(爐邊情談)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4 |
노마식도(老馬識途)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4 |
남가일몽(南柯一夢)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1)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