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마식도(老馬識途)'는 경험 많은 자는 길을 잘 안다는 뜻으로, 경험이 풍부한 사람은 일을 잘 해결할 수 있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노마식도(老馬識途)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노마식도 뜻
'노마식도(老馬識途)'는 '늙은 말은 길을 안다', 즉 경험 많은 사람은 어떤 상황에서도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 老(늙을 노): 나이가 든
- 馬(말 마): 말
- 識(알 식): 알다
- 途(길 도): 길
노마식도는 주로 오랜 경험을 가진 사람의 지혜와 노련함을 칭찬하거나, 복잡한 상황에서 경험자의 조언을 따를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됩니다.
유래
노마식도는 중국 『한비자(韓非子) · 설림 편(說林篇)』에 등장하는 고사에서 유래합니다.
춘추시대 제(齊) 나라의 장수 관중(管仲)과 포숙아(鮑叔牙)가 군대를 이끌고 진(晉) 나라를 공격하다가 돌아오는 길에 길을 잃었습니다. 이때 포숙아는 "늙은 말은 길을 안다(老馬識途)"며, 늙은 말을 앞세워 길을 찾아 무사히 귀환했습니다.
이 고사에서 유래하여 노련한 이의 경험이 위기 상황에서 유용하다는 교훈을 주는 말로 쓰이게 되었습니다.
예문
노마식도는 어려운 상황에서 경험자의 도움이나 조언이 빛을 발하는 경우에 자주 사용됩니다.
- 신입 사원들이 헤매자 부장님이 나서며 노마식도의 진가를 보여주었다.
→ 경험자의 해결 능력을 보여주는 장면 - 복잡한 해외 거래에서도 그는 노마식도답게 침착하게 대응했다.
→ 노련한 전문가의 태도 - 이 프로젝트는 새로 온 팀장보단 노마식도인 선배의 조언이 필요하다.
→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한 발언
노마식도 반대말
노마식도의 반대 의미를 담은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무용지물(無用之物): 아무 쓸모없는 물건
→ 경험이 있어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존재 - 생무지익(生無知益): 살아 있어도 아무런 이익이나 도움을 주지 못함
→ 노년의 경험이 전혀 활용되지 못하는 상태
이 반대말들은 경험이 무시되거나 의미 없게 여겨지는 상황을 표현합니다.
노마식도 유의어
노마식도와 유사한 의미를 지닌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경세제민(經世濟民): 세상을 다스리고 백성을 구제함
→ 풍부한 경험과 지혜로 사회를 이끄는 능력자 - 백전노장(百戰老將): 수많은 전투를 겪은 노련한 장수
→ 경험이 풍부한 베테랑 - 노익장(老益壯): 늙었지만 오히려 기운이 왕성함
→ 나이와 관계없이 실력 있는 사람
이 유의어들은 모두 노련함, 경험, 지혜를 바탕으로 하는 실력자의 위상을 나타냅니다.
끝맺음
'노마식도(老馬識途)'는 단순히 나이가 많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그 안에는 삶의 경험과 실제적 지혜, 그리고 위기에서의 해법을 아는 능력이 담겨 있습니다.
새로움을 추구하는 시대일수록, 경험자의 말에 귀 기울일 줄 아는 지혜가 더 중요해집니다. 당신의 곁에도 지금, 길을 아는 '늙은 말'이 있지 않나요?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불습유(路不拾遺)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4 |
---|---|
노변정담(爐邊情談)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4 |
남가일몽(南柯一夢)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1) | 2025.05.04 |
낭중지추(囊中之錐)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4 |
난형난제(難兄難弟)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