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장지경(弄璋之慶)은 옥을 가지고 논다는 뜻으로, 아들이 태어난 경사를 표현하는 전통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농장지경(弄璋之慶)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농장지경 뜻
- 弄(희롱할 농): 가지고 놀다
- 璋(옥 장): 구슬, 옥
- 之(갈 지): ~의
- 慶(경사 경): 기쁨, 경사
'농장지경(弄璋之慶)'은 아들이 태어난 것을 축하하는 경사스러운 일을 가리키며, 전통적으로 딸을 얻은 기쁨을 뜻하는 농와지경(弄瓦之慶)과 함께 사용되었습니다.
유래
농장지경(弄璋之慶)은 중국 고전 『예기(禮記) · 내칙편(內則篇)』에서 유래했습니다.
고대 중국에서는 아들이 태어나면 옥(璋)을, 딸이 태어나면 기와(瓦)를 상징적으로 사용해 축하하는 풍속이 있었습니다.
여기에서 유래한 ‘옥을 가지고 논다’는 표현은 곧 아들이 태어난 기쁨을 뜻하게 되었고, ‘농장지경’이라는 사자성어로 정착하게 된 것입니다.
예문
농장지경(弄璋之慶)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친구의 아들 출산 소식에 모두가 농장지경이라며 축하 인사를 전했다.
- 장남이 태어나자 집안 어르신들은 오랜만의 농장지경에 크게 기뻐하셨다.
- 고대에는 아들이 태어나면 농장지경, 딸이 태어나면 농와지경이라 하여 모두 경사로 여겼다.
이처럼 농장지경은 아들 출생을 축하하는 전통적인 표현으로, 경사스러운 분위기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농장지경 반대말
- 농와지경(弄瓦之慶): 딸이 태어난 경사
농와지경은 여아 출생을 축하하는 사자성어로 농장지경과 대구를 이룹니다.
끝맺음
농장지경(弄璋之慶)은 아들이 태어난 기쁨과 경사를 전통적인 언어로 표현한 사자성어입니다.
과거에는 성별에 따라 표현이 나뉘었지만, 오늘날에 농장지경은 남녀를 불문하고 새로운 생명의 탄생을 기리는 문학적이고 격조 있는 표현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 관련 글 모음
농가성진(濃歌盛陳)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기망양(多岐亡羊)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
능소능대(能小能大)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5.21 |
농와지경(弄瓦之慶)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농가성진(濃歌盛陳)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녹의홍상(綠衣紅裳) 뜻, 유래, 예시 문장 (0)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