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다익선(多多益善)'은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다는 의미의 사자성어로, 인원이나 자원, 물건 등이 많을수록 유리하거나 좋은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다다익선(多多益善)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다익선 뜻
'다다익선(多多益善)'은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다'는 뜻으로, 인원, 물자, 기회 등이 많을수록 유리하고 바람직하다는 의미로 사용되는 사자성어입니다.
- 多(많을 다): 많다
- 多(많을 다): 많다 (강조)
- 益(더할 익): 더욱, 더하다
- 善(착할 선): 좋다, 훌륭하다
다다익선은 단순한 양의 많음을 넘어서, 풍부한 자원이 긍정적인 결과를 만든다는 전제를 담고 있습니다.
유래
다다익선은 중국 고전 『사기(史記) · 백기열전(白起列傳)』에 나오는 고사에서 유래했습니다. 전국시대 조나라의 무장 염파(廉頗)가 진나라의 명장 백기(白起)에 대해 "당신은 병사가 얼마나 되면 싸우겠는가?"라고 묻자, 백기는 이렇게 답합니다.
“多多益善(다다익선)”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다)
즉, 다다익선은 병력은 많을수록 유리하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이후로 수나 양이 많을수록 좋다는 뜻의 보편적인 표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예문
다다익선은 사람, 물자, 자본, 정보 등 무엇이든 많을수록 유리하다는 맥락에서 다양하게 활용됩니다.
- 봉사 인원이 많으면 많을수록 좋으니, 이번엔 다다익선이라 생각하고 더 모집하자.
→ 인원수가 많을수록 효과가 좋은 상황 - 회의 아이디어는 다다익선이니, 틀려도 좋으니 자유롭게 내보세요.
→ 아이디어나 창의적 제안은 많을수록 유리함을 강조 - 책은 다다익선이라며 그는 서재에 하루가 멀다 하고 책을 들여놓는다.
→ 수집이나 자산이 많을수록 좋다고 믿는 경우
다다익선 반대말
다다익선의 반대 의미를 가진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과유불급(過猶不及):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
→ 너무 많으면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음 - 소탐대실(小貪大失): 작은 것을 탐하다가 큰 것을 잃는다
→ 양보다 질이 더 중요하다는 교훈 - 다문다설(多聞多舌): 말을 너무 많이 하면 실수가 많음
→ 많음이 반드시 좋지만은 않음을 경계
이러한 반대말은 무조건적인 많음이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다다익선 유의어
다다익선과 유사한 의미의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중과부적(衆寡不敵): 적은 수로는 많은 수를 이기기 어렵다
→ 수적 우세가 유리하다는 의미 - 풍족지세(豊足之勢): 풍족하고 넉넉한 형세
→ 많음이 안정적이고 유리한 상황을 만듦 - 유여유용(有餘有用): 여유가 있으니 쓰임도 많다
→ 많음이 다양한 쓰임으로 이어짐
이 유의어들은 모두 풍족함, 수적 우위, 다양성의 장점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끝맺음
'다다익선(多多益善)'은 양이 많을수록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확장과 발전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사고를 상징합니다.
하지만, 때로는 과유불급이 될 수도 있기에, ‘양의 많음’이 아닌 ‘가치의 적절함’을 병행해 고민하는 자세도 필요합니다.
무엇이든 많기만 하면 좋은가요? 아니면 정말로 필요한 것을 제대로 갖추는 게 중요한가요? 다다익선은 수단일 뿐, 목적이 되어선 안 됩니다.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기만성(大器晚成)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4 |
---|---|
당랑거철(螳螂拒轍)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4 |
누란지위(累卵之危)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4 |
녹양방초(綠楊芳草)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4 |
노불습유(路不拾遺)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