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지계(斷機之戒)는 학문을 중도에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정진하라는 교훈을 담은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단기지계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단기지계 뜻
단기지계(斷機之戒)는 직조를 하다 베틀의 실을 끊듯, 학문을 중단하는 것은 아무 소용이 없다는 경계의 뜻입니다. 즉, 단기지계는 공부를 도중에 그만두는 것은 모든 노력이 헛수고가 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 斷(끊을 단): 끊다
- 機(베틀 기): 베틀, 직기
- 之(갈 지): ~의
- 戒(경계할 계): 경계, 훈계
이처럼 ‘단기지계’는 학문을 포기하지 말고 꾸준히 정진해야 함을 강조하는 교육적 훈계성 사자성어로 널리 사용됩니다.
유래
‘단기지계’는 중국 **맹자의 어머니, 맹모(孟母)**의 교육 일화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열녀전(列女傳)》의 ‘맹모단기지계(孟母斷機之戒)’ 편에 따르면, 맹자가 공부를 게을리하고 돌아오자, 어머니는 짜던 베틀의 날실을 가위로 끊어버리며 이렇게 말합니다.
“학문을 중단하는 것은 옷을 짓다 끊는 것과 같다. 아무 쓸모가 없다.”
이 일화는 후에 ‘단기지계’라는 사자성어로 정리되어, 교육의 중요성과 인내의 필요성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고사로 전해졌습니다.
예문
단기지계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매번 중도에 포기했지만 이번에는 단기지계를 되새기며 끝까지 공부를 마쳤다.
- 어머니의 엄한 훈육은 마치 단기지계와도 같아 그의 인생에 큰 전환점이 되었다.
- 인생에서 목표를 이룰 수 있는 사람은 단기지계의 교훈처럼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이들이다.
단기지계 반대말
단기지계와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용두사미(龍頭蛇尾): 용의 머리에 뱀의 꼬리라는 뜻으로, 시작은 그럴듯하지만 끝이 좋지 못함을 뜻합니다.
단기지계가 처음부터 끝까지 꾸준한 노력을 강조하는 데 비해, 용두사미는 중도 포기와 흐지부지를 상징하는 표현입니다.
단기지계 유의어
단기지계와 유사한 의미를 지닌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지교(斷機之敎): 단기지계와 거의 동일한 의미로 쓰이며, 학문 중단의 해로움을 가르치는 훈계입니다.
- 맹모단기지교(孟母斷機之敎): 맹자의 어머니가 베틀을 끊으며 학문의 중요성을 가르친 일화에서 유래한 말로,
교육과 꾸준함의 중요성을 상징합니다. - 우공이산(愚公移山): 우직한 노력이 결국 큰 성과를 이룬다는 의미로, 인내와 끈기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함께 사용됩니다.
끝맺음
단기지계(斷機之戒)는 고대 교육 철학 속에서 유래했지만, 오늘날에도 자기 계발, 진로 설정, 목표 달성 등 다양한 상황에서 여전히 유효한 교훈을 줍니다.
공부든 일이든 도중에 그만두면 처음의 노력도 허사가 된다는 것을 잊지 말고, 꾸준히 정진하는 자세로 임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성취로 가는 길입니다.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구풍월(堂狗風月)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9 |
---|---|
단금지교(斷金之交)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9 |
살신성인(殺身成仁)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9 |
다정다감(多情多感)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9 |
다문박식(多聞博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