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살신성인(殺身成仁)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썸네일

 

살신성인(殺身成仁)은 자신의 목숨을 희생하여 인(仁)을 이룬다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살신성인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살신성인 뜻

살신성인(殺身成仁)은 자신의 몸을 희생해서 인(仁)을 실현한다는 뜻입니다. 살신성인은 도덕적 가치를 지키거나 공동체의 정의를 위해 자기를 희생하는 태도를 나타낼 때 자주 사용됩니다.

  • 殺(죽일 살): 목숨을 끊다
  • 身(몸 신): 자기 몸, 자신
  • 成(이룰 성): 이루다, 실현하다
  • 仁(어질 인): 어짊, 인(仁)의 도

즉, 살신성인은 자신의 생명을 희생하더라도 인(仁)의 도리를 지키려는 고결한 자세를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유래

‘살신성인’은 고전 『논어(論語)』의 위령공(衛靈公) 편에 등장하는 다음 문장에서 유래했습니다.

"志士仁人,無求生以害仁,有殺身以成仁."
(뜻: 뜻을 가진 선비와 어진 사람은 삶을 구하면서 인을 해치지 않으며, 죽음을 택하더라도 인을 완성한다.)

공자의 이 말은 유교 사상의 핵심인 '인의 예지(仁義禮智)' 중에서도, 가장 우선시 되는 인(仁)을 위해 자신을 희생할 수 있는 자세를 가르칩니다. 살신성인은 역사적으로는 충신이나 의사(義士)를 칭송할 때 자주 인용되었습니다.

 

예문

살신성인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목숨을 잃는 한이 있더라도 정의를 지키겠다는 그의 선택은 살신성인의 정신과도 같았다.
  • 자신의 모든 것을 희생하며 후세를 위해 싸운 독립운동가의 삶은 곧 살신성인이었다.
  • 무고한 사람을 감싸기 위해 대신 벌을 받은 그의 행동은 명백한 살신성인이었다.

한자한자

 

살신성인 반대말

살신성인의 의미와 반대되는 실제 사자성어는 견리망의(見利忘義)입니다.

  • 견리망의(見利忘義): 이익을 보면 의리를 잊는다는 뜻으로,
    도덕이나 의리를 저버리고 자기 이익만을 좇는 이기적인 태도를 비판할 때 쓰입니다.
    이는 인(仁)을 위해 자기 몸을 희생하는 살신성인과 정반대의 태도입니다.

 

살신성인 유의어

살신성인과 유사한 의미를 가진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사의찬미(捨義贊美): 정의를 위해 목숨을 버린 이들을 찬미함
  • 순국선열(殉國先烈):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이들을 높여 부르는 말로, 살신성인의 구체적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 견위수명(見危授命): 위태로움을 보면 목숨을 내던진다는 뜻으로, 공공의 위험 앞에 자기희생을 감수하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끝맺음

살신성인(殺身成仁)은 시대를 막론하고 가장 고결한 인간의 자세를 대변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자신을 내세우기보다 공동체와 도덕을 우선하는 태도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강한 울림을 줍니다.

그 정신은 위기 속에서 더욱 빛나며, 우리가 본받아야 할 참된 가치의 표본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