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대역부도(大逆不道)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썸네일

 

대역부도(大逆不道)는 인간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를 저버리고 용서받지 못할 죄를 저지르는 행위를 일컫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역부도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대역부도 뜻

대역부도(大逆不道)는 사회나 국가의 기본적인 윤리와 법도를 거스르는 극악무도한 죄악을 뜻합니다. 주로 대역부도는 군주에 대한 반역, 부모나 윗사람에 대한 극심한 불효 등 인간의 도리를 완전히 저버린 행위에 사용됩니다.

  • 大(클 대): 크다, 중대하다
  • 逆(거스를 역): 거역하다, 반역하다
  • 不(아닐 불): 아니다, 부정
  • 道(길 도): 도리, 도덕, 법도

즉, 대역부도는 ‘크게 거슬러 도리에 어긋난다’는 뜻으로, 도저히 용서받을 수 없는 반도덕적 행위국가 질서를 파괴하는 중대한 범죄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

‘대역부도’는 중국과 조선시대 법률 체계에서 사용되던 죄명(罪名)으로, 국가 질서를 어지럽히고,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덕적·사회적 원칙을 완전히 무시한 행위를 가리킵니다.

특히 대역부도는 조선시대에는 십악(十惡)의 하나로 분류되어, 그 형량이 매우 무겁고 사면이나 감형도 불가능한 중죄로 다뤄졌습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임금에 대한 반역죄, 부모 살해, 패륜적 행위 등이 있습니다.

 

예문

대역부도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임금을 시해한 그 죄는 명백한 대역부도로 조정에서도 극형을 면치 못했다.
  • 부모를 해친 그의 행위는 인간으로서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대역부도다.
  • 조선 시대에는 대역부도에 해당하는 죄목은 어떤 경우에도 사면되지 않았다.

한자한자

 

대역부도 반대말

대역부도와 반대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충효정절(忠孝貞節): 충성, 효도, 정절을 아우르는 사자성어로,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최고의 덕목을 의미합니다.
    대역부도가 도리를 어기는 행위라면, 충효정절은 그 도리를 지키는 바른 태도를 뜻합니다.

 

대역부도 유의어

대역부도와 유사한 의미를 가진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패륜무도(悖倫無道): 인륜을 어기고 도리에 어긋난다는 뜻으로, 도덕과 인간 윤리를 철저히 무시한 행위를 나타냅니다.
  • 천인공노(天人共怒): 하늘과 사람이 함께 분노한다는 뜻으로, 누구나 분노할 만한 극악한 죄악을 설명할 때 쓰입니다.
  • 불충불효(不忠不孝): 충성하지 않고 효도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가장 기본적인 인간 도리를 저버린 상태를 표현합니다.

 

끝맺음

대역부도(大逆不道)는 단순한 잘못이나 실수를 넘어, 인간 사회의 근간을 흔드는 중대한 죄악을 상징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법과 도덕, 그리고 도리를 무시한 극단적인 행위는 결국 공동체 전체에 깊은 상처를 남깁니다. 이 사자성어를 통해 우리는 사람으로서 지켜야 할 최소한의 윤리와 책임을 되새겨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