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명경지수(明鏡止水)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썸네일

 

명경지수(明鏡止水)는 맑은 거울과 고요한 물처럼 잡념 없이 맑고 평온한 마음 상태를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명경지수의 뜻, 유래, 예문부터 명경지수의 반대말, 유의어까지 모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명경지수 뜻

명경지수(明鏡止水)는 맑은 거울처럼 밝고, 잔잔한 물처럼 고요한 마음을 비유한 말로, 욕심이나 분노, 혼란 없이 청정하고 평정심 있는 상태를 뜻합니다.

  • 明(밝을 명): 밝다, 맑다
  • 鏡(거울 경): 거울
  • 止(그칠 지): 멈추다, 고요하다
  • 水(물 수): 물

즉, 명경지수는 외부 자극에도 흔들림 없이 마음을 다스리는 상태, 혹은 고요한 자연처럼 평정심이 유지된 정신 상태를 상징합니다.

 

유래

‘명경지수’는 중국 당나라 시인 한유(韓愈)가 쓴 문장에서도 등장하며, 특히 불교·유학·도교의 수양적 가치관에서 명경지수는 자주 인용됩니다.

고대 성현들은 수양을 통해 도달해야 할 경지로 ‘거울처럼 맑고, 물처럼 고요한 마음’을 강조했으며, 《장자(莊子)》나 《논어》, 《대학》 등의 고전에서 유사한 표현들이 반복적으로 등장합니다.
명경지수는 잡념이 없는 상태에서 진리를 바라볼 수 있다는 내면 수양의 완성형으로 사용됩니다.

 

예문

명경지수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분노와 혼란 속에서도 명경지수 같은 침착함을 유지했다.
  • 수련을 거듭할수록 마음이 점점 명경지수에 가까워진다.
  • 욕심을 내려놓으니 비로소 내 안에 명경지수의 고요함이 찾아왔다.

한자한자

 

명경지수 반대말

명경지수와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혼정무도(昏定無道): 어두워져 바른 도리를 따르지 못하는 상태로, 명확하고 평온한 마음을 잃고 혼란과 방탕에 빠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 심란의혹(心亂疑惑): 마음이 어지럽고 의심이 많다는 뜻으로, 정신이 산란하고 집중하지 못하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명경지수 유의어

명경지수와 유사한 의미를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함영지덕(涵泳之德): 물속에 잠기듯 조용히 스며드는 덕이라는 뜻으로, 외유내강하고 고요하지만 깊은 내면의 덕성을 의미합니다.
  • 연담지정(煙潭之靜): 안개 낀 연못처럼 조용하고 고요하다는 뜻으로, 내면의 평화와 안정감을 표현할 때 쓰입니다.
  • 무심자연(無心自然): 마음을 비우고 자연에 따르는 상태를 의미하며, 억지나 욕심 없이 자연스러운 조화를 추구하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끝맺음

명경지수(明鏡止水)는 삶이 혼란스러울수록 더욱 중요하게 다가오는 마음의 평정과 고요함을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꼭 필요한 것은 흔들림 없이 내면을 비추는 맑은 거울과도 같은 정신 상태일지도 모릅니다. 잠시 멈추고 나 자신을 들여다보는 시간 속에서, 명경지수의 경지를 향해 한 걸음 다가가 보는 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