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배은망덕(背恩忘德)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배은망덕(背恩忘德)'은 받은 은혜와 덕을 잊고 도리어 등을 돌리는 행위를 비판할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인간관계에서 가장 지탄받는 행위 중 하나로, 신뢰를 깨뜨리는 대표적인 부정적 태도를 상징합니다.

 

썸네일

 

이번 글에서는 배은망덕(背恩忘德)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배은망덕 뜻

'배은망덕(背恩忘德)'은 '은혜를 저버리고, 덕을 잊는다'는 뜻의 사자성어로, 도움을 받고도 감사할 줄 모르고 도리어 배신하거나 무시하는 행동을 말합니다.

  • 背(등 배): 등을 돌리다, 배신하다
  • 恩(은혜 은): 은혜
  • 忘(잊을 망): 잊다
  • 德(덕 덕): 덕, 도리

즉, 배은망덕은 누군가의 도움이나 호의를 받고도 감사하지 않고, 되레 무례하거나 배신하는 행위를 지적할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

 

유래

배은망덕은 고대 중국의 《좌전(左傳)》이나 《사기(史記)》 등의 역사서에서 충신이나 의리를 저버리는 인물에 대해 사용되었던 표현에서 유래합니다.

대표적으로 진(晉) 나라의 공자 신생이 조카를 위해 음모에 휘말려 죽음을 당하자, 이를 돕지 않았던 자들이 "배은망덕한 자"로 비난받은 기록이 전해집니다.
이후 배은망덕은 인의예지를 중시한 동양 문화에서 ‘도덕적 타락’ 또는 ‘의리 없음’의 상징어로 굳어졌습니다.

 

예문

배은망덕은 주로 도움을 주고받은 관계에서 도리를 저버린 경우에 사용됩니다. 아래는 문맥에 따른 예문과 설명입니다.

  • 그가 은인을 모함했다는 소식을 듣고 모두가 배은망덕한 행동이라며 분노했다.
    → 도움을 받은 사람에게 되레 해를 끼친 경우
  • 부모님의 희생을 잊고 무시하는 자녀는 배은망덕하다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 가족 간의 기본 도리를 저버리는 상황
  • 친구가 힘들 때 도와줬는데, 정작 내가 어려울 땐 모른 척하더라. 정말 배은망덕 그 자체였다.
    → 인간관계에서 의리와 감사가 결여된 태도를 지적

 

한자한자

 

배은망덕 반대말

배은망덕의 반대 의미를 가진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결초보은(結草報恩): 죽어서도 은혜를 갚는다는 뜻
    → 받은 은혜를 끝까지 잊지 않고 보답하는 태도
  • 감은지덕(感恩之德): 은혜를 깊이 감사히 여김
    → 마음 깊이 은혜를 느끼고 도리를 다함

이처럼 반대말은 감사와 보은, 도덕적 책임을 강조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배은망덕 유의어

배은망덕과 유사한 의미의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망은부신(忘恩負信): 은혜를 잊고 신의를 저버림
    → 의리 없는 행동을 비판할 때 사용
  • 천인공노(天人共怒): 하늘과 사람이 함께 분노함
    →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비도덕적 행위에 대한 비난
  • 이현령비현령(耳懸鈴鼻懸鈴):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 상황에 따라 말을 바꾸며 의리를 저버리는 행동에 비유

이 사자성어들 모두 도덕적 책임을 저버리고 배신하거나 무례하게 처신하는 사람에 대한 경고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끝맺음

배은망덕은 사회와 인간관계를 망가뜨리는 가장 근본적인 배신 행위를 일컫는 말입니다. 작은 은혜라도 기억하고 감사할 줄 아는 태도가, 결국 더 깊고 신뢰 있는 관계를 만들어 줍니다.

도움받은 순간을 잊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보은의 자세로 살아간다면, 더 많은 기회와 좋은 인연이 따라올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