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선공후사(先公後私)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선공후사(先公後私)는 “공적인 일을 먼저 하고, 사적인 일을 나중에 한다”는 뜻으로, 공익을 우선하고, 사적인 이익이나 욕심은 뒤로 미루는 태도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선공후사는 개인보다 공동체, 국가, 조직을 우선하는 공적 가치 지향의 정신을 나타냅니다.

 

선공후사(先公後私)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선공후사 뜻

  • 先(먼저 선): 먼저
  • 公(공평할 공): 공공, 공익, 공적인 것
  • 後(뒤 후): 나중에
  • 私(사사로울 사): 개인, 사적인 것

문자 그대로 선공후사는 “공적인 일을 먼저 하고, 사적인 일을 나중에 한다”, 즉, 공익과 공적 책임을 우선하고 사사로운 이익은 뒤로 미루는 자세를 뜻합니다.

 

유래

선공후사(先公後私)는 고대 중국 유교 사상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특히 《논어(論語)》와 《맹자(孟子)》를 비롯한 유교 경전에서 강조된 가치입니다.

선공후사는 국가, 공동체, 가족, 조직을 위한 희생과 봉사를 최우선으로 삼아야 한다는 유교 윤리에서 출발했습니다.

 

예문

  • 그는 언제나 선공후사의 정신으로 회사와 동료들을 먼저 생각했다.
  • 사회 지도자는 반드시 선공후사의 태도를 가져야 한다.
  • 시민들이 선공후사의 마음으로 움직인 덕분에 위기를 잘 극복할 수 있었다.
  • 선공후사는 공직자의 기본적인 도리다.

선공후사는 공공의 이익을 우선하고, 개인적 욕심을 내려놓는 태도를 강조할 때 쓰입니다.

 

선공후사선공후사선공후사

 

선공후사 반대말

  • 사리사욕(私利私欲): 개인의 이익과 욕심만 추구함
  • 이기주의(利己主義): 자기 이익만을 우선하는 태도
  • 선사후공(先私後公): 사적인 것을 먼저 하고 공적인 것을 뒤로 함 

공동체보다 개인의 이익과 욕심을 우선하는 태도가 반대말입니다.

 

선공후사 유의어

  • 공명정대(公明正大): 공정하고 바르며 사사로움이 없음
  • 멸사봉공(滅私奉公): 자신을 희생하고 공적인 일을 위해 봉사함

모두 공익과 공동체를 우선시하고, 개인의 욕심을 절제하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끝맺음

선공후사(先公後私)는 단순한 도덕적 가르침을 넘어서, 공동체와 사회를 유지하고 건강하게 만드는 기본적인 윤리 원칙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선공후사는 공직자, 기업인, 시민 모두에게 반드시 필요한 가치로, 개인주의와 이기주의가 만연한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 관련 글 모음
서시빈목(西施嚬目) ⭐

선견지명(先見之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