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세속오계(世俗五戒)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세속오계(世俗五戒)는 신라 시대 화랑도가 지켜야 했던 다섯 가지 윤리 규범을 의미하며, 국가와 사회, 부모와 친구를 위한 충·효·신·용·절의 덕목을 강조하는 고대 청년 교육 이념이자 도덕적 사자성어입니다.

 

썸네일


이번 글에서는 세속오계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세속오계 뜻

세속오계(世俗五戒)는 속세의 다섯 가지 계율이라는 뜻으로, 신라 시대 화랑(花郞)들이 실천해야 했던 국가적 윤리 규범 5가지 항목을 가리킵니다.

  • 世俗(세속): 인간 사회, 현실 세계
  • 五(다섯 오): 다섯
  • 戒(경계할 계): 계율, 규범

다섯 가지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사군이충(事君以忠) – 임금을 섬김에는 충성을 다할 것
  2. 사친이효(事親以孝) – 부모를 섬김에는 효를 다할 것
  3. 교우이신(交友以信) – 친구를 사귐에는 믿음을 지킬 것
  4. 임전무퇴(臨戰無退) – 전란에 임해서는 물러서지 말 것
  5. 살생유택(殺生有擇) – 살생을 하되 뜻이 있어 선택할 것

이처럼 세속오계는 국가와 공동체를 위한 충성, 효도, 신의, 용기, 절제의 도덕적 기본 이념을 담고 있습니다.

 

유래

‘세속오계’는 신라 진흥왕 시대 원광법사(圓光法師)가 화랑도에게 가르친 다섯 가지 행동 규범으로,《삼국사기》 열전 중 ‘화랑세기’와 ‘원광법사 열전’에 전해지는 고사에서 유래합니다.

당시 화랑도는 단순한 무사 집단이 아니라 도덕성과 충절을 갖춘 청년 조직이었고, 이 다섯 가지 계율은 그들의 정신적 지침이자 신라 사회의 기틀을 이루는 청년 교육 철학이었습니다.

 

예문

세속오계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라의 화랑들은 세속오계를 실천하며 충성과 효를 삶의 중심에 두었다.
  • 교육자는 오늘날에도 세속오계의 정신을 되살릴 필요가 있다.
  • 공동체 의식을 강조하는 캠프에서 세속오계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한자한자

 

세속오계 반대말

세속오계는 고대 윤리 규범이므로 완전한 반대 사자성어는 없지만, 개념적으로 상반되는 태도를 표현하는 말은 다음과 같습니다.

  • 패륜무도(悖倫無道): 인간의 도리를 거스르고 도리에 어긋난다는 뜻으로, 세속오계의 효·신·의리를 무시하는 행동을 나타냅니다.
  • 무법천지(無法天地): 법도나 도리가 없는 세상으로, 공동체 윤리나 도덕 질서가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세속오계 유의어

세속오계와 유사한 뜻을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 또는 용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오계(五戒): 일반 불교에서 말하는 살생, 도둑질, 거짓말 등 5가지 계율과는 구별되지만, ‘다섯 가지 계율’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습니다.
  • 화랑오계(花郞五戒): 세속오계와 동일한 의미로, 화랑도 윤리 규범을 강조할 때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 충효신용(忠孝信勇): 충성과 효도, 신의와 용기를 의미하며, 세속오계의 핵심 덕목을 요약한 단어입니다.

 

끝맺음

세속오계(世俗五戒)는 단순한 고대 청년 단체의 규범을 넘어, 지금도 사회 공동체와 조직, 가정, 국가의 기초 도덕을 구성하는 핵심 가치로 활용될 수 있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날 청소년 교육이나 리더십, 인성 교육에서도 세속오계의 정신은 시대를 초월해 여전히 유효한 가치를 전해줍니다. 당신이 속한 공동체에도 이런 '오계'가 존재하나요? 지금 한번 되돌아보는 건 어떨까요?

 

 

👇 관련 글 모음
역린(逆鱗) ⭐

수처작주(隨處作主) ⭐

연리지(連理枝) ⭐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