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수무책(束手無策)은 손을 묶여서 아무런 방책이 없다는 뜻으로, 어떠한 상황에서도 뾰족한 수가 없고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는 난감한 처지를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속수무책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속수무책 뜻
속수무책(束手無策)은 손이 묶인 듯 어찌할 방법이 없다는 의미로, 갑작스러운 상황이나 힘든 문제 앞에서 아무런 대책도 없이 속수무책으로 당황하거나 당할 수밖에 없는 상태를 표현합니다.
- 束(묶을 속): 묶다
- 手(손 수): 손
- 無(없을 무): 없다
- 策(계책 책): 계책, 방법
즉, 속수무책은 완전히 무력한 상태에 빠져 아무런 대응도 할 수 없는 답답한 상황을 나타냅니다.
유래
‘속수무책’은 고대 중국의 병법서와 역사서 등에서 유래된 표현으로, 전란에서 손이 묶인 듯 아무런 대책 없이 당황하거나 패배하는 군사적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오늘날에 속수무책은 일상생활, 사회 문제, 개인적 위기 등에서 아무런 대응 방안 없이 당하는 상황을 묘사할 때 쓰입니다.
예문
속수무책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갑작스러운 사고 앞에서 그는 속수무책이었다.
- 경제 위기가 닥치자 정부도 한동안 속수무책 상태에 빠졌다.
- 그 복잡한 문제는 전문가들도 속수무책이라 할 정도로 난해했다.
속수무책 반대말
속수무책과 반대되는 의미의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 및 한자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임기응변(臨機應變): 상황에 따라 재치 있게 대응한다는 뜻으로, 속수무책과 반대로 상황에 맞게 신속하고 지혜롭게 대처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 여유만만(餘裕滿滿): 여유가 넘친다는 뜻으로, 어떤 상황에도 침착하고 당황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속수무책 유의어
속수무책과 유사한 뜻을 지닌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속수자초(束手自招): 손을 묶고 자초한다는 뜻으로, 아무 대책 없이 스스로 위기를 초래하는 상황을 표현합니다.
- 속수구원(束手求援): 손을 묶고 구원만 바라본다는 뜻으로, 자력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외부의 도움만 바라는 무기력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 진퇴유곡(進退維谷): 나아갈 수도 물러설 수도 없는 막다른 상태, 속수무책처럼 난관에 빠져 어찌할 바를 모르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끝맺음
속수무책(束手無策)은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할 수 있는 절망적이고 무력한 상황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럴 때일수록 침착함을 유지하고, 임기응변과 유연함으로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위기를 기회로 바꾸기 위한 첫 걸음은 속수무책의 무력함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작은 가능성이라도 찾아보려는 태도일 것입니다.
👇 관련 글 모음
배은망덕(背恩忘德)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구영신(送舊迎新)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4 |
---|---|
솔선수범(率先垂範)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4 |
소탐대실(小貪大失)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4 |
세속오계(世俗五戒)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3 |
행운유수(行雲流水)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