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식자우환(識字憂患)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식자우환(識字憂患)은 글자를 알면 근심이 많아진다는 뜻으로, 세상일에 대해 아는 것이 많아질수록 괜한 걱정과 고민이 많아짐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썸네일


이번 글에서는 식자우환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식자우환 뜻

식자우환(識字憂患)은 글자를 아는 사람이 오히려 근심과 걱정이 많아진다는 의미로, 배움이 많아질수록 세상일의 복잡함과 어려움을 더 많이 알게 되어 오히려 마음이 편치 않다는 뜻입니다.

  • 識(알 식): 알다
  • 字(글자 자): 글자
  • 憂(근심 우): 근심
  • 患(근심 환): 걱정

즉, 식자우환은 모르는 사람보다 많이 아는 사람일수록 걱정이 늘어난다는 인생의 역설을 표현한 말입니다.

 

유래

‘식자우환’은 중국 고전에서 비롯된 말로, 책이나 학문을 통해 세상을 아는 사람일수록 인생과 세상의 복잡한 이치, 부조리를 더 깊이 알게 되어 더 많은 걱정과 근심을 떠안게 됨을 풍자적으로 표현한 사자성어입니다.

식자우환은 지자다우(知者多憂)와 같은 고전적 철학과도 맥을 같이합니다.

 

예문

식자우환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늘 식자우환이라며 너무 많이 알려고 하지 말자고 말했다.
  • 세상사를 깊이 알다 보면 식자우환처럼 마음이 괴로워진다.
  • 식자우환이라 했듯, 무지 속의 평온이 오히려 더 행복할지도 모른다.

한자한자

 

식자우환 반대말

식자우환과 반대되는 의미의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무지몽매(無知蒙昧): 아는 것이 없이 어둡다는 뜻으로, 식자우환처럼 아는 것이 많아 근심이 많음과 달리 아무것도 모르고 순진하게 살아가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 태평무사(太平無事): 세상이 태평하여 아무 일이 없다는 뜻으로, 식자우환과 달리 아무 걱정 없이 평온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식자우환 유의어

식자우환과 유사한 뜻을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박학다우(博學多憂): 많이 배울수록 근심도 많다는 뜻으로, 식자우환과 같이 아는 것이 많을수록 걱정도 많아짐을 표현합니다.
  • 지자다우(知者多憂): 아는 자는 근심이 많다는 뜻으로, 식자우환과 같은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 다문다우(多聞多憂): 들은 것이 많으면 근심도 많다는 뜻으로, 식자우환과 같은 교훈을 전달합니다.

 

끝맺음

식자우환(識字憂患)은 많이 알수록 더 많은 고민과 걱정이 찾아온다는 인생의 역설과 슬픈 진실을 담고 있는 사자성어입니다.

세상의 복잡함 속에서도 때때로 모르고 살아가는 편안함과 단순함이 오히려 행복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혜를 식자우환은 우리에게 전해줍니다.

 

 

👇 관련 글 모음
대동단결(大同團結) ⭐

대의멸친(大義滅親) ⭐

도탄지고(塗炭之苦) ⭐

동가홍상(同價紅裳)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