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시기상조(時機尙早)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시기상조(時機尙早)는 때가 아직 이르다는 뜻으로, 무엇을 시도하거나 실행하기에 적절한 시기가 아직 도래하지 않았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썸네일


이번 글에서는 시기상조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시기상조 뜻

시기상조(時機尙早)는 적절한 시기가 아직 이르다는 의미로, 어떤 일을 시작하거나 결정하기에는 아직 준비나 상황이 무르익지 않아 적절하지 않다는 뜻입니다.

  • 時(때 시): 시기
  • 機(기계 기): 기회, 때
  • 尙(오히려 상): 오히려, 아직
  • 早(이를 조): 이르다

오늘날에 시기상조는 정책, 사업, 협상, 계획 등을 추진하기엔 시기적으로 부적절하다는 의미로 자주 사용됩니다.

 

유래

‘시기상조’는 고전 고사성어가 아닌 한자식 표현에서 비롯된 관용적 사자성어입니다.
특히, 시기상조는 정치·경제·사회 분야에서 시기 판단의 중요성을 강조하거나 섣부른 결정이 오히려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의미로 활용됩니다.

 

예문

시기상조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기술 도입은 아직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 지금 투자 확대를 논의하는 건 시기상조일 수 있다.
  • 그는 급하게 결혼을 결정하려 했지만 가족들은 시기상조라며 만류했다.

 

시기상조 반대말

시기상조와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 및 한자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시기적절(時機適切): 시기가 알맞다는 뜻으로, 시기상조의 '이르다'와 반대로 지금이 가장 적기임을 의미합니다.
  • 적시적소(適時適所): 알맞은 때, 알맞은 장소라는 뜻으로, 시기상조와 대조적으로 딱 알맞은 타이밍을 뜻합니다.

 

시기상조 유의어

시기상조와 유사한 뜻을 지닌 사자성어 및 한자어 다음과 같습니다.

  • 시상미숙(時尙未熟): 때가 아직 무르익지 않음, 시기상조와 같은 의미로, 시기가 아직 이르다는 뜻입니다.
  • 조급무익(躁急無益): 조급하면 이익이 없다는 뜻으로, 시기상조처럼 때가 무르익지 않았을 때 성급히 움직이는 것을 경계합니다.
  • 졸속처리(拙速處理): 서투르게 서두르는 처리, 시기상조와 비슷하게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성급히 추진하는 것을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

 

끝맺음

시기상조(時機尙早)는 급하게 결정하고 서두르기보다는 상황과 준비가 무르익을 때까지 기다리는 지혜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사자성어입니다.

어떤 일이든 때가 있고 순서가 있는 법, 지금이 과연 적기인지, 혹은 시기상조인지 신중하게 돌아보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 관련 글 모음
누란지위(累卵之危) ⭐

다다익선(多多益善) ⭐

당랑거철(螳螂拒轍) ⭐

대기만성(大器晚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