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자우환(識字憂患)은 글자를 알면 근심이 많아진다는 뜻으로, 세상일에 대해 아는 것이 많아질수록 괜한 걱정과 고민이 많아짐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식자우환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식자우환 뜻
식자우환(識字憂患)은 글자를 아는 사람이 오히려 근심과 걱정이 많아진다는 의미로, 배움이 많아질수록 세상일의 복잡함과 어려움을 더 많이 알게 되어 오히려 마음이 편치 않다는 뜻입니다.
- 識(알 식): 알다
- 字(글자 자): 글자
- 憂(근심 우): 근심
- 患(근심 환): 걱정
즉, 식자우환은 모르는 사람보다 많이 아는 사람일수록 걱정이 늘어난다는 인생의 역설을 표현한 말입니다.
유래
‘식자우환’은 중국 고전에서 비롯된 말로, 책이나 학문을 통해 세상을 아는 사람일수록 인생과 세상의 복잡한 이치, 부조리를 더 깊이 알게 되어 더 많은 걱정과 근심을 떠안게 됨을 풍자적으로 표현한 사자성어입니다.
식자우환은 지자다우(知者多憂)와 같은 고전적 철학과도 맥을 같이합니다.
예문
식자우환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늘 식자우환이라며 너무 많이 알려고 하지 말자고 말했다.
- 세상사를 깊이 알다 보면 식자우환처럼 마음이 괴로워진다.
- 식자우환이라 했듯, 무지 속의 평온이 오히려 더 행복할지도 모른다.
식자우환 반대말
식자우환과 반대되는 의미의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무지몽매(無知蒙昧): 아는 것이 없이 어둡다는 뜻으로, 식자우환처럼 아는 것이 많아 근심이 많음과 달리 아무것도 모르고 순진하게 살아가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 태평무사(太平無事): 세상이 태평하여 아무 일이 없다는 뜻으로, 식자우환과 달리 아무 걱정 없이 평온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식자우환 유의어
식자우환과 유사한 뜻을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박학다우(博學多憂): 많이 배울수록 근심도 많다는 뜻으로, 식자우환과 같이 아는 것이 많을수록 걱정도 많아짐을 표현합니다.
- 지자다우(知者多憂): 아는 자는 근심이 많다는 뜻으로, 식자우환과 같은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 다문다우(多聞多憂): 들은 것이 많으면 근심도 많다는 뜻으로, 식자우환과 같은 교훈을 전달합니다.
끝맺음
식자우환(識字憂患)은 많이 알수록 더 많은 고민과 걱정이 찾아온다는 인생의 역설과 슬픈 진실을 담고 있는 사자성어입니다.
세상의 복잡함 속에서도 때때로 모르고 살아가는 편안함과 단순함이 오히려 행복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혜를 식자우환은 우리에게 전해줍니다.
👇 관련 글 모음
대동단결(大同團結)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사숙고(深思熟考)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4 |
---|---|
심기일전(心機一轉)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4 |
시정잡배(市井雜輩)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4 |
시기상조(時機尙早)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4 |
실사구시(實事求是)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