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아전인수(我田引水)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아전인수(我田引水)는 자신의 논에만 물을 끌어온다는 뜻으로, 모든 일을 자기 입장에서만 해석하고, 자기 이익만을 챙기려 하는 이기적인 태도를 비판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썸네일


이번 글에서는 아전인수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아전인수 뜻

아전인수(我田引水)는 내 논에만 물을 끌어다 쓴다는 의미로, 자신의 이익만을 생각하고 모든 일을 자신의 유리한 쪽으로만 해석하거나 행동하는 이기적인 태도를 비유합니다.

  • 我(나 아): 나
  • 田(밭 전): 논, 밭
  • 引(끌 인): 끌다
  • 水(물 수): 물

즉, 아전인수는 자신만의 이익과 편의를 위해 타인의 입장이나 공공의 이익은 고려하지 않는 경우를 지적하는 말입니다.

 

유래

‘아전인수’는 중국 고전 《전국책(戰國策)》 등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옛날 농부들이 가뭄이 들었을 때 자기 논에만 물을 끌어다 이웃의 논은 무시하고 자신의 이익만 챙긴 데서 비롯된 말입니다.

아전인수는 오늘날에도 타인을 무시하고 자기만 생각하는 이기적인 태도를 비판하거나, 상황을 자기 입장에만 유리하게 해석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예문

아전인수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회의에서 언제나 아전인수식 발언만 한다.
  • 정치인들의 아전인수식 주장에 시민들은 분노했다.
  • 협상에서 아전인수만 하다 보면 결국 아무도 이기지 못한다.

한자ㅍ

 

아전인수 반대말

아전인수와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 및 한자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공명정대(公明正大): 공평하고 밝으며 바르고 크다는 뜻으로, 아전인수처럼 사익을 쫓지 않고 공공의 이익과 공정함을 중시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 사심무(私心無): 사사로운 마음이 없다는 뜻으로, 아전인수와 달리 사익을 배제하고 공익을 우선시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아전인수 유의어

아전인수와 유사한 뜻을 지닌 사자성어 및 한자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사사로운(私私濫用): 사사로이 함부로 남용한다는 뜻으로, 아전인수처럼 개인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태도를 비판합니다.
  • 독선자행(獨善自行): 혼자만 옳다고 고집하며 행동한다는 뜻으로, 아전인수처럼 자기만 옳다는 독선적인 태도를 비유합니다.
  • 자기본위(自己本位): 자기를 기준으로 삼음, 아전인수와 같은 맥락에서 자기중심적 사고를 의미합니다.

 

끝맺음

아전인수(我田引水)는 자기 입장만 고수하고 타인의 입장과 공공의 이익은 무시하는 이기적 태도를 경계하고 비판하는 사자성어입니다.

공동체 속에서 아전인수보다는 공명정대의 태도로 타인의 관점도 존중하며 함께 이익을 찾으려는 자세가 더욱 필요한 시대입니다.

 

 

👇 관련 글 모음
마부위침(磨斧爲針) ⭐

막역지우(莫逆之友) ⭐

만수무강(萬壽無疆) ⭐

망운지정(望雲之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