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이독경(牛耳讀經)은 소 귀에 경 읽기라는 뜻으로, 아무리 좋은 말이나 가르침도 알아듣지 못하거나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에게는 아무 소용이 없음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주로 무지하거나 고집 센 사람에게 아무리 설득하거나 교육해도 효과가 없을 때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우이독경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우이독경 뜻
우이독경(牛耳讀經)은 소 귀에 경 읽기라는 의미로, 아무리 좋은 말을 해도 귀담아 듣지 않거나 이해할 수 없는 사람에게는 소용이 없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 牛(소 우): 소
- 耳(귀 이): 귀
- 讀(읽을 독): 읽다
- 經(경전 경): 경전
즉, 우이독경은 소 귀에 불경을 읽어봤자 아무 의미가 없듯, 무지하거나 듣지 않는 사람에게는 어떤 말도 소용없음을 비유합니다.
유래
‘우이독경’은 중국 고전 《한비자(韓非子)》나 여러 문헌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불교 경전을 읽어도 소는 그것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비유에서 듣는 사람이 준비되지 않았거나 받아들일 의지가 없을 때
어떤 좋은 가르침도 헛된 노력이 됨을 풍자한 표현입니다. 오늘날에도 교육, 설득, 충고 등의 상황에서 상대방이 아예 마음을 열지 않거나 이해력이 부족하여 아무 효과가 없을 때 사용됩니다.
예문
우이독경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아무리 충고해도 듣지 않으니 우이독경일 뿐이다.
- 회의에서 논리적으로 설명했지만, 그의 고집 앞에선 우이독경이었다.
- 아이에게 아무리 책을 읽어줘도 관심이 없으면 우이독경이다.
우이독경 반대말
우이독경과 반대되는 의미의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이심전심(以心傳心): 마음과 마음이 통한다는 뜻으로, 우이독경처럼 아무리 말해도 통하지 않는 것과 달리 말 없이도 마음이 잘 통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 문일지십(聞一知十):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는 뜻으로, 우이독경처럼 전혀 알아듣지 못하는 것과 반대로 이해가 빠르고 받아들이는 능력이 뛰어난 사람을 비유합니다.
우이독경 유의어
우이독경과 유사한 뜻을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우이송경(牛耳誦經): 소 귀에 경전을 읊는다는 뜻으로, 우이독경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며, 아무리 좋은 말을 해도 듣지 않음을 비유합니다.
- 당랑거철(螳螂拒轍): 사마귀가 수레를 막는다는 뜻으로, 우이독경처럼 자신의 처지를 모르고 무모하게 덤비거나 상황 파악을 못하는 사람의 행동을 비유합니다.
끝맺음
우이독경(牛耳讀經)은 아무리 좋은 말이나 가르침도 듣는 사람이 받아들이지 않으면 아무 의미가 없음을 풍자하는 사자성어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우이독경의 상황처럼 상대가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아무리 좋은 말도 헛수고가 될 수 있음을 이 사자성어는 일깨워줍니다.
👇 관련 글 모음
불편부당(不偏不黨)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비무환(有備無患)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6 |
---|---|
원앙금침(鴛鴦衾枕)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6 |
우보만리(牛步萬里)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6 |
우공이산(愚公移山)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6 |
용두사미(龍頭蛇尾)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