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보만리(牛步萬里)는 소의 걸음으로 만 리를 간다는 뜻으로, 비록 느리지만 꾸준하게 노력하면 결국 먼 길도 갈 수 있다는 교훈을 담은 사자성어입니다.
속도가 느려도 포기하지 않고 묵묵히 나아가는 인내심과 꾸준함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우보만리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우보만리 뜻
우보만리(牛步萬里)는 소의 걸음으로 만 리를 간다는 의미로, 느리고 더딘 걸음일지라도 꾸준히 나아가면 결국 먼 목표에도 도달할 수 있다는 끈기와 성실함을 강조하는 사자성어입니다.
- 牛(소 우): 소
- 步(걸을 보): 걸음
- 萬(만 만): 만
- 里(거리 리): 리(중국의 거리 단위, 약 500m)
즉, 우보만리는 작고 느린 걸음일지라도 끈기 있게 계속 나아가면 크고 먼 목표도 이룰 수 있음을 비유합니다.
유래
‘우보만리’는 중국 고전이나 한시에서 자주 인용되던 표현으로, 소처럼 느린 걸음도 쉬지 않고 꾸준히 나아가면 결국 원하는 목표에 다다를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이는 인내, 끈기, 성실, 꾸준함을 높이 평가하는 동양 고전적 가치관을 잘 보여주는 표현입니다. 오늘날에도 학습, 운동, 직장 생활, 자기계발 등 모든 분야에서 꾸준함과 인내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예문
우보만리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우보만리의 자세로 매일 조금씩 공부하여 마침내 합격했다.
- 다이어트는 우보만리처럼 서두르지 말고 꾸준히 해야 효과가 있다.
- 우보만리의 정신으로 포기하지 않고 하루하루 글을 썼더니 책이 완성됐다.
우보만리 반대말
우보만리와 반대되는 의미의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욕속부달(欲速不達): 빠르게 하고자 하면 도달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우보만리와 다르게 조급하게 진행하려다 오히려 실패하는 상황을 경고하는 표현입니다.
- 작심삼일(作心三日): 결심이 사흘을 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우보만리처럼 꾸준히 지속하지 못하고 쉽게 포기하는 태도를 비유합니다.
우보만리 유의어
우보만리와 유사한 뜻을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우공이산(愚公移山): 어리석어 보일 정도로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우보만리처럼 인내심과 끈기를 통해 결국 큰 일을 이루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 수적천석(水滴穿石):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다는 뜻으로, 우보만리처럼 작은 노력이 모이면 큰 변화를 이룬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 마부작침(磨斧作針):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우보만리와 같이 느리더라도 인내심을 갖고 노력하면 결국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음을 비유합니다.
끝맺음
우보만리(牛步萬里)는 느리지만 꾸준히 가면 결국 먼 길도 갈 수 있음을 강조하는 인내와 성실의 상징적인 사자성어입니다.
현대처럼 빠른 속도가 미덕으로 여겨지는 사회에서도 우보만리의 정신처럼 서두르지 않고 한 걸음 한 걸음 꾸준히 나아가는 태도가 더 큰 성과를 이루는 지름길임을 이 사자성어는 알려줍니다.
👇 관련 글 모음
불편부당(不偏不黨)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앙금침(鴛鴦衾枕)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6 |
---|---|
우이독경(牛耳讀經)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6 |
우공이산(愚公移山)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6 |
용두사미(龍頭蛇尾)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5 |
욕속부달(欲速不達)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