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유아독존(唯我獨尊)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유아독존(唯我獨尊)은 오직 나만이 높고 존귀하다는 뜻으로, 세상에서 자기 자신만을 최고로 여기고 남을 깔보거나 무시하는 태도를 비판하거나 풍자할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썸네일


이번 글에서는 유아독존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유아독존 뜻

유아독존(唯我獨尊)은 오직 나만이 높고 존귀하다는 의미로, 세상의 중심이 자신이라고 착각하거나 자만하는 태도, 혹은 자기중심적 사고를 비판하는 말로 사용됩니다.

  • 唯(오직 유): 오직
  • 我(나 아): 나
  • 獨(홀로 독): 홀로
  • 尊(높을 존): 존귀하다

유아독존은 원래는 불교 용어로, 부처가 깨달음을 얻었을 때 자신 안에 참된 존귀함이 있다는 의미였으나, 현대에서 유아독존은 오만하거나 독선적인 태도를 꼬집는 표현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유래

‘유아독존’은 불교 경전인 《장아함경(長阿含經)》에서 유래했습니다.

석가모니가 태어나자마자 "하늘 위와 하늘 아래, 오직 나만이 존귀하다(天上天下 唯我獨尊)"라고 외친 데서 비롯된 말입니다.

유아독존의 원래 의미는 자기 자신 안에 존재하는 불성과 참된 가치를 의미했으나, 현대에 와서는 자기만이 최고라고 착각하거나 타인을 얕보는 부정적 표현으로 더 많이 사용됩니다.

 

예문

유아독존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의 태도는 마치 세상에 자신밖에 없는 듯한 유아독존이었다.
  • 팀 프로젝트에서도 유아독존식 행동은 갈등을 불러일으킨다.
  • 성공한 뒤 유아독존에 빠진 그는 결국 주변의 신뢰를 잃었다.

한자한자

 

유아독존 반대말

유아독존과 반대되는 의미의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겸손지덕(謙遜之德): 겸손함을 미덕으로 삼는다는 뜻으로, 자신을 낮추고 타인을 존중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 허심탄회(虛心坦懷): 마음을 비우고 담백하게 열린 마음으로 대한다는 뜻으로, 자만과 독선을 버리고 소통하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유아독존 유의어

유아독존과 유사한 뜻을 지닌 실제 존재하는 한자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자기중심(自己中心): 세상의 중심이 자기 자신이라고 생각하는 태도를 뜻하며, 유아독존의 현대적 표현으로 자주 사용됩니다.
  • 독선(獨善): 자기만 옳다고 생각하며 독단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유아독존과 매우 가까운 의미입니다.
  • 우월의식(優越意識): 자신이 남보다 뛰어나다고 여기는 태도로, 타인을 깔보거나 무시하는 행위를 설명할 때 쓰입니다.

 

끝맺음

유아독존(唯我獨尊)은 본래 불성과 깨달음의 긍정적 의미를 담고 있지만, 오늘날에는 자기만을 최고로 여기며 타인을 무시하는 오만과 독선의 상징으로 자주 사용됩니다.
누구나 스스로를 존중해야 하지만, 겸손함과 배려 없이 자기만 높이는 태도는 결국 외면과 고립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자신과 타인 사이의 균형 잡힌 태도를 유지하는 것, 그것이 현대 사회에서 진정한 존귀함의 자세일 것입니다.

 

 

👇 관련 글 모음
표리부동(表裏不同) ⭐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 ⭐

계륵(鷄肋) ⭐

백중지세(伯仲之勢)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