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읍참마속(泣斬馬謖)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읍참마속(泣斬馬謖)은 울면서 마속을 베었다는 뜻으로, 사사로운 정을 버리고 공정한 원칙에 따라 단호하게 처벌해야 할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썸네일


이번 글에서는 읍참마속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읍참마속 뜻

읍참마속(泣斬馬謖)은 눈물을 흘리면서 마속을 참수한다는 의미로, 사적인 정을 버리고 공적 원칙에 따라 법과 질서를 지켜야 함을 강조하는 사자성어입니다.

  • 泣(울 읍): 울다
  • 斬(벨 참): 베다
  • 馬(말 마): 마속(인명)
  • 謖(일어설 속): 마속의 이름

즉, 사랑하고 아끼는 사람일지라도 공정한 처벌을 해야만 조직의 기강이 바로 선다는 엄격한 원칙주의를 나타냅니다.

 

유래

‘읍참마속’은 중국 삼국시대 제갈량(諸葛亮)이 북벌 중 명령을 어긴 마속(馬謖)을 참수한 고사에서 유래합니다.
제갈량은 마속을 아꼈으나, 그의 불복종과 패전으로 인해 군율을 바로 세우기 위해 울면서도 그를 직접 참수하여 법을 바로 세웠습니다.

이 일화는 《삼국지》 '제갈량전'과 《삼국지연의》에서 유명하게 다루어졌으며, 오늘날에도 공정함과 원칙을 중시하는 상황에서 자주 인용됩니다.

 

예문

읍참마속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아끼던 부하였지만 회사의 기강을 위해 읍참마속의 결단을 내렸다.
  • 팀원 전체를 위해서는 읍참마속의 자세로 불공정한 행동을 바로잡아야 한다.
  • 리더의 역할은 때로는 읍참마속처럼 냉정한 결단을 요구한다.

한자한자

 

읍참마속 반대말

읍참마속과 반대되는 의미의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인정편사(人情偏私): 인간적인 정 때문에 사사로이 치우친다는 의미로, 사사로운 감정에 휘둘려 공정함을 잃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읍참마속 유의어

읍참마속과 유사한 뜻을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법고처단(法古處斷): 법에 따라 예외 없이 엄정하게 처벌한다는 뜻으로, 읍참마속처럼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원칙적 태도를 나타냅니다.
  • 사즉생(死則生): 죽어야 산다는 뜻으로, 읍참마속처럼 단호한 결단이 조직을 살릴 수 있음을 강조할 때 함께 사용됩니다.
  • 단호처단(斷乎處斷): 망설임 없이 처리한다는 뜻으로, 사사로운 감정에 흔들리지 않는 철저한 처단을 표현합니다.

 

끝맺음

읍참마속(泣斬馬謖)은 공적 원칙을 지키기 위해서는 때로는 가까운 이에게조차 냉정해야 한다는 냉철한 리더십의 교훈을 담고 있는 사자성어입니다.
조직, 사회, 국가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 감정보다 원칙과 공정함이 우선되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오늘날에도 공정과 원칙이 흔들리는 순간, 이 사자성어의 의미를 되새겨볼 가치가 있습니다.

 

 

👇 관련 글 모음

구미속초(狗尾續貂) ⭐

미수(米壽) ⭐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

순망치한(脣亡齒寒)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