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심전심(以心傳心)은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한다는 뜻으로, 말이나 글 없이도 서로의 마음이 통하여 깊은 이해와 교감을 나누는 상황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주로 불교 선종에서 사용되며, 마음으로 깨달음을 전한다는 의미로도 쓰이며, 일상에서는 말하지 않아도 서로 통하는 깊은 신뢰나 교감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심전심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이심전심 뜻
이심전심(以心傳心)은 마음으로 마음을 전한다는 의미로, 말이나 글로 설명하지 않아도 마음과 마음이 자연스럽게 통하여 상대의 의중이나 뜻을 깊이 이해하고 교감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 以(써 이): ~으로
- 心(마음 심): 마음
- 傳(전할 전): 전하다
- 心(마음 심): 마음
즉, 이심전심은 입으로 말하지 않아도 상대방의 뜻과 감정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심오한 교감과 깨달음을 표현합니다.
유래
‘이심전심’은 불교 선종(禪宗)에서 유래한 사자성어로, 말이나 글에 의존하지 않고 직접 마음에서 마음으로 진리를 깨닫고 전한다는 선종의 핵심 교리를 담고 있습니다.
특히, 석가모니가 꽃을 들어 보여주자 가섭존자가 미소로 응답했다는 '염화미소(拈華微笑)'의 고사에서 이심전심의 정신이 잘 드러납니다.
오늘날에 이심전심은 말 없이도 서로의 마음을 이해하거나 깊이 있는 교감을 표현할 때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예문
이심전심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두 사람은 이심전심으로 말없이도 서로의 마음을 이해했다.
- 고참과 신참 사이에도 이심전심이 이루어져 팀워크가 자연스러웠다.
- 부부 사이의 깊은 신뢰는 이심전심으로 이루어진다.
이심전심 반대말
이심전심과 반대되는 의미의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우이독경(牛耳讀經): 소 귀에 경 읽기라는 뜻으로, 이심전심처럼 말 없이도 통하는 것과 반대로 아무리 말을 해도 통하지 않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 문일지십(聞一知十):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는 뜻으로, 이심전심처럼 깊은 교감 없이 오히려 빠르고 정확하게 논리적으로 이해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이심전심 유의어
이심전심과 유사한 뜻을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불립문자(不立文字): 문자에 의지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이심전심처럼 말이나 글에 의존하지 않고 마음으로 깨닫고 전한다는 선종의 정신을 표현합니다.
- 교외별전(敎外別傳): 가르침 밖에서 별도로 전한다는 뜻으로, 이심전심처럼 문자와 이론이 아닌 직접 마음과 마음으로 깨달음을 전한다는 불교 선종의 교리를 의미합니다.
- 염화미소(拈華微笑): 꽃을 들어 보이며 미소 짓는다는 뜻으로, 이심전심과 같은 유래로 말이 아닌 표정과 행동으로 깨달음을 전하는 상황을 비유합니다.
끝맺음
이심전심(以心傳心)은 말이나 글이 없어도 마음과 마음이 통하여 깊은 교감과 이해가 이루어지는 교감과 신뢰의 상징적인 사자성어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이심전심의 정신처럼 말보다 진심으로 통하는 깊고 따뜻한 인간 관계와 교감을 나누는 태도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 관련 글 모음
새옹지마(塞翁之馬)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율배반(二律背反)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6 |
---|---|
이열치열(以熱治熱)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6 |
이란격석(以卵擊石)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6 |
유지경성(有志竟成)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6 |
유비무환(有備無患)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