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이율배반(二律背反)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이율배반(二律背反)은 두 개의 논리가 서로 모순되어 둘 다 옳아 보이지만 동시에 성립할 수 없다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서로 다른 두 명제가 각각 타당하게 보이지만 동시에 참일 수 없다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며, 철학, 논리학, 일상 대화에서 논리적 모순이나 갈등 상황을 지적할 때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율배반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이율배반 뜻

이율배반(二律背反)은 두 가지 원리가 서로 어긋난다는 의미로, 두 개의 서로 모순되는 주장이나 명제가 각각 논리적으로 타당해 보이지만 동시에 성립할 수 없는 상황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 二(둘 이): 둘
  • 律(법칙 율): 법칙, 규칙
  • 背(등 배): 어긋나다
  • 反(반할 반): 반대하다

즉, 이율배반은 두 가지 논리적 주장이나 원칙이 서로 충돌하여 양립할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유래

‘이율배반’은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의 『순수이성비판』에서 유래한 철학 용어로, 칸트는 인간의 순수 이성이 자기 모순에 빠질 수 있음을 설명하면서 우주, 신, 자유 등과 같은 초월적 문제에 있어 상반된 두 명제가 모두 타당하게 증명될 수 있으나 결국 동시에 참일 수 없다고 보았습니다.

오늘날에 이율배반은 철학뿐 아니라 법률, 정치, 사회 논쟁 등에서 모순되는 주장들이 충돌하여 양립 불가능한 상황을 지적할 때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예문

이율배반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공공복지 확대와 세금 인하를 동시에 주장하는 것은 이율배반적이다.
  • 자유와 평등은 때로 이율배반의 관계에 놓인다.
  •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이윤 극대화는 이율배반처럼 충돌하는 가치다.

이율배반이율배반

 

이율배반 반대말

이율배반과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 및 속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일석이조(一石二鳥): 한 번에 두 가지 이익을 얻는다는 뜻으로, 이율배반처럼 상충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행동으로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 두마리 토끼를 잡는다: 두 가지 일을 동시에 성공적으로 해내려는 상황으로, 이율배반처럼 양립 불가능한 상황과 반대로 두 가지를 동시에 성취하는 희망적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율배반 유의어

이율배반과 유사한 뜻을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진퇴양난(進退兩難): 나아가지도 물러서지도 못한다는 뜻으로, 이율배반처럼 어느 쪽도 선택하기 어려운 갈등 상황을 표현합니다.
  • 양립불가(兩立不可): 두 가지가 함께 존재할 수 없다는 뜻으로, 이율배반과 같이 상호 모순적인 두 가지 상황을 비유합니다.

 

끝맺음

이율배반(二律背反)은 두 가지 논리나 가치가 서로 충돌하여 동시에 존재할 수 없음을 비판적이고 논리적으로 지적하는 사자성어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이율배반적 상황처럼 갈등하거나 충돌하는 가치들이 존재할 때 냉정하고 합리적으로 균형점을 찾으려는 태도가 더욱 중요함을 이 사자성어는 일깨워줍니다.

 

 

👇 관련 글 모음
소탐대실(小貪大失) ⭐

속수무책(束手無策) ⭐

솔선수범(率先垂範) ⭐

송구영신(送舊迎新) ⭐